"기업들, 탄소감축 미달해도 페널티 없지만 투자자 외면할 것"
입력
수정
지면A8
윤순진 탄소중립委 공동위원장
"선진국은 한국보다 속도 빨라야"
윤순진 2050탄소중립위원회 공동위원장(사진)은 지난 2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산업과 기업에 페널티가 주어지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윤 위원장은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로 김부겸 국무총리와 함께 탄소중립위원장을 맡고 있다.
정부는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이고, 2050년엔 탄소 순배출량을 제로(0)로 하는 목표를 최근 확정했다. 2030년엔 부문별로 발전 44.4%, 산업 14.5%, 건물 32.8%, 수송 37.8% 등의 감축 목표를 정했다.
윤 위원장은 “페널티와 관련해선 한국뿐만 아니라 모든 나라가 그렇다”며 “하지만 투자 기관들이 별도로 지속 가능 경영을 계속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기업들도 잘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포스코만 하더라도 수출과 투자 등을 위해 앞장서서 탄소중립에 나섰다”며 “세계 철강업체 중 가장 먼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최근엔 수소환원제철 국제포럼도 열었다”고 했다.
윤 위원장은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과도한 것 아니냐는 질문엔 “탄소중립은 힘겨운 고난이자 새로운 기회”라며 “수출 비중이 크고 해외 투자를 많이 받는 한국으로선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탄소중립위 등 정부가 산업계와 환경단체 등 양쪽에서 비판받는 어려운 입장임을 이해해 달라고 했다.
윤 위원장은 “산업계는 속도가 빠르다고 하지만 환경단체들은 2030년 감축 목표가 50% 이상 돼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며 “정부는 국제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책임성과 이행 가능성을 고려해 40% 목표를 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산업계의 탄소 감축은 기술 개발과 설비 교체 등으로 계단식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기다려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윤 위원장은 모든 국가가 탄소중립 목표를 동일하게 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은 산업화와 산업 전환이 빨랐기 때문에 한국보다 일찍 탄소 감축을 시작했다”며 “한국의 2050 탄소중립 목표는 대단히 도전적인 만큼 주요 선진국은 이보다 빠른 2035~204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내놓는 게 바람직해 보인다”고 했다.
윤 위원장은 국제사회가 기후 변화 대응과 관련해 한국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고 했다. 그는 “개발도상국 입장에선 한국은 따라 하고 싶은 나라이고, 선진국은 한국이 성공적으로 탄소중립을 이행하느냐에 따라 개발도상국을 견인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했다.
김소현 기자 alpha@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