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적 점프 '그랑 제떼'는 보통 몇번 미끄러진 다음에야 온다
입력
수정
[arte] 이단비의 발레의 열두 달오고 있던 봄이 눈길 위에 미끄러졌다. 2월 말, 서울에서는 58년 만에 폭설이 내렸고, 강릉에는 70센티미터의 눈이 쌓였다. 쌓인 눈 속에서 이제 기지개를 켜려던 새싹이 잔뜩 몸을 움츠렸다. 하지만 우리는 이 눈이 봄을 기다리는 하얀 소식인 걸 알고 있다.
미끄러지는 곳에서 봄이 온다, 글리사드(glissade)
빙판 위에서 부쩍 줄어든 마찰력. 발레에서도 이런 미끄러지는 듯한 움직임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이야기를 듣고 어떤 사람들은 발레 < 지젤(Giselle, 1841) > 2막에서 윌리들의 수장, 미르타가 처음 등장하는 장면을 떠올릴 수도 있겠다.
물 흐르는 듯이 무대 위에서 이동하는 미르타의 모습은 마치 스케이트를 타고 빙판 위를 가로지는 것처럼 아무런 마찰력을 느낄 수 없다. 그 동작은 부레(bourré). 오른발과 왼발을 끊임없이 바꾸며 발걸음을 잘게 부서서 걷되, 머리와 어깨는 전혀 미동이 없기 때문에 관객의 눈에는 눈 위를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미동 없이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부레는 귀신인 윌리들에게 가장 잘 맞는 동작이라 할 수 있다.
‘미끄러진다’는 단어는 일상에서 많은 경우 부정적인 뉘앙스를 갖고 있다. 시험을 앞둔 사람이 미역국을 먹지 않고 찹쌀떡을 먹는 건 마음의 마찰력을 높여 시험에 미끄러지지 않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뒤집어 놓고 생각해 보면 이렇다. 비행기가 활주로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 날 수 없고, 한번도 무언가에서 미끄러지지 않은 사람은 더 높이 성장할 수 없다.
실패가 성공의 어머니로 불리는 이유는 미끄러지는 것에는 다음 단계로 나아가게 해주는 힘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발레에서 글리사드가 제떼로 이어지게 해주는 힘이 있는 것처럼. 돌아보면 그때 미끄러져서, 실패해서 천만다행인 일도 있었다. 지금 누리고 갖고 있는 것 바탕에 그 실패가 있었다는 걸 부정할 수 없기도 하다. 봄은 찬 겨울과 얼음장 위에서 미끄러지다가 찾아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