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원을 그려보는 거야, 여름의 초록 공기를 가르며
입력
수정
[arte] 이단비의 발레의 열두 달계절은 온도계의 숫자보다 코끝에 닿는 공기로 먼저 느끼게 된다. 추운 겨울을 지나 봄이 올 때 따뜻한 기운이 바람에 실려 오듯이, 여름이 시작되는 지금, 새들과 벌레들의 노래가 공기를 타고 창가로 날아온다. 발레는 ‘공기’와 관련이 깊다. 공기의 정령이 등장하는 <라 실피드(1832)>에서는 최초의 포인트슈즈(토슈즈)가 등장하기도 했다. 중력의 지배를 받지 않는 살랑살랑 가벼운 움직임과 춤의 호흡이야말로 발레의 매력이다.
여름 공기를 가르며, 앙 레르(en l'air)
앙 레르의 대표적인 동작은 ‘롱 드 장브 앙 레르(rond de jambe en l'air)’이다. 한쪽 다리로 지탱하고 서서, 다른 쪽 다리를 서 있는 다리와 직각이 되게 든 채 무릎을 폈다 구부렸다 하며 공중에서 타원을 그리는 동작이다. '롱드(rond)'는 라운드(round), 즉 원을 그린다는 뜻이고, ‘장브(jambe)’는 다리라는 뜻이다. 뜻 그대로 ‘공중에서 원을 그리는’ 동작인 것. 이 동작에서는 들고 있는 다리가 앙 레르 상태이다.
하지만 이 동작에서 정작 중요한 지점은 공중에서 타원을 그리는 움직임이 아니라 동작을 수행할 때 허리와 골반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가운데 중심점을 잡고 있는 것이다. 즉, 아무리 다리를 들어도 허리선과 골반 높이는 수평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발레의 여러 동작들은 높이 뛰고, 높이 들고, 몸을 일상의 범주보다 확장해서 사용하지만 몸이 찌그러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골반을 기준으로 X축과 Y축을 그려놓고 그 축이 어떤 동작을 하든 유지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높이 들고 많이 뛰는 것보다 어렵고 중요한 건 이 부분이다. 롱 드 장브 앙 레르를 연습하는 것도 이런 점을 강화하기 위한 훈련 중 하나이다.
이 동작은 남녀 무용수 모두가 선보이지만 남성 무용수만 하는 특별한 앙 레르 동작도 있다. ‘투르 앙 레르(tour en l'air)’이다. 앙 레르에 회전한다는 뜻의 ‘투르(tour)’가 붙은 만큼 공중으로 솟아올라 회전하는 동작을 가리킨다. 제자리에서 공중으로 뛰어올라 적게는 한 번, 많게는 3회전까지 하고 내려오는데 시각적으로도 기술적으로도 화려하고 역동적이기 때문에 남성 무용수의 동작 중 백미로 꼽힌다. 그래서 발레의 어떤 작품이든 이 동작은 꼭 등장하기 마련이다.
여름이 시작됐다. 자연을 벗 삼고 자연 속에서 살아가기를 좋아했던 미국의 철학자이자 시인, 작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 1817~1862)는 그의 시 <계절에 따라가며 살아가리라>에서 “여름과 함께 초록불로 타오르고”라는 표현을 썼다. 이 시구 사이로 투르 앙 레르의 동작이 떠오른다. 여름의 낮과 밤에는 초록의 공기가 가득하다. 무용수라면 투르 앙 레르를 하며 그 공기를 느끼겠지만, 그 대신 두 다리와 발로 공기 사이를 가르며, 소로가 쓴 시처럼 계절 속으로 한껏 걸어 들어가 본다.
이단비 작가·<발레, 무도에의 권유>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