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상무기가 된 개들과 탈출 꿈꾸는 이선균, 결국 울고야 말았다
입력
수정
[리뷰] 영화지난 11일 개봉한 한국 영화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 (김태곤 감독)는 오랜만에 공개되는 재난영화다. 그럼에도 블록버스터가 주는 기대와 설렘만 가지고 이 영화를 마주할 순 없는 것은, 이 작품이 고(故)이선균 배우의 유작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영화는 작년 칸영화제의 미드나잇 스크리닝에 공식 초청되어 해외에서 먼저 공개됐다. ‘미드나잇 스크리닝’은 주로 장르 영화와 상업 영화가 선보이는 비경쟁 섹션으로 칸의 주요 부문 시상에서는 제외된다.
재난영화라는 장르적 레이블을 달고 나온 영화인 만큼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에서는 공항대교 위에서 벌어지는 ‘재난’이 영화의 중추가 된다. 극심한 안개와 악천후 때문에 발생한 연쇄 추돌사고와 헬리콥터 사고 (뒤에 언급할 다른 사건과 관계한)로 인해 공항대교는 붕괴 직전에 이른다. 저마다 각기 다른 이유로 공항대교를 건너고 있던 사람들은 모두 한순간에 다리 위에서 고립된다. 그러나 이야기는 곧 다리의 붕괴뿐만이 아닌 또 다른 재앙이 다리 위에 감춰진 사실을 드러내며 반전을 보인다.
사람들과 함께 다리를 건너던 무리 중에는 극비리에 이송 중이던 '프로젝트 사일런스'의 군사용 실험·살인견들이 있었다. 추돌 사고로 인해 이들이 풀려나면서 다리 위의 사람들이 개들의 타깃이 되어 무차별 공격당하는 통제 불능의 상황이 벌어진다. 공항으로 향하던 안보실 행정관(이선균)은 사고를 수습하고자 청와대와 연락을 취하지만 군에서는 이를 저지한다. 우연한 상황으로 그곳을 찾은 레커차 기사(주지훈), 그리고 실험견들을 극비리에 이송 중이던 '프로젝트 사일런스'의 책임연구원(김희원) 역시 저마다 생존을 위한 고군분투를 하지만 그 어디에도 탈출구는 보이지 않는다.
문제는 CG가 집약된 이 살상무기견이 전혀 (시각적으로) 위협적이지 않다는 사실이다. 약간의 험악한 표정을 가미해서 만들어진 일반적인 대형견 사이즈의 핏불은 길에서 마주칠 법한 반려견과 큰 차이가 없다. 또한 이들이 아무리 무기로 개발된 개들이라고 해도 고작 11마리가 다리 위의 몇백명의 시민들을 전멸시킨다는 설정은 다소 억지스럽다. 다시 말해, 영화의 중추가 되는 재앙의 근원은 시각적으로도, 그 무리의 양으로도 공포를 자아내기에는 역부족이다.
아마도 스크린 데일리에서 B급 감성을 가진 영화로 이 작품을 평한 것은 이러한 이질적인 장르적 요소를 두고 한 말이 아닐까 생각된다. <탈출: 프로젝트 사일런스>는 재난물과 코미디, 정치 서사와 선한 시민의 대립, 강아지와 인간 등 다소 중구난방의 불균질한 서사적 구조와 장르적 외피 사이에서 이야기를 따라가려는 투혼을 벌여야 하는 영화지만 그럼에도 이 영화를 꼭 스크린으로 봐야 하는 이유가 있다.
우리가 사랑했던 이선균 배우를 추모하며.
김효정 영화평론가·아르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