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낙수효과'로 경기 부양…투자감세, 5조 넘는다
입력
수정
지면A8
올해 2배 규모…당정, 내년 반도체에 파격 지원
반도체 R&D 등 세액공제 확대
조세지출 4.2조서 6조로 늘 듯
부자감세 부담 안고 민생 살리기
서민·중산층 감세도 본격화
○반도체 파격 ‘세제지원’
정부는 세법 개정안이 연말 국회를 통과하면 내년도 통합투자세액공제 지출 규모가 당초 예상을 훨씬 웃돌 것으로 보고 있다. 여야 협의 과정에서 반도체 기업에 한해 통합투자세액 공제율을 현행보다 5%포인트 상향하기로 합의한 데 이어 국가전략기술 투자세액공제 대상에 연구개발(R&D) 장비 등 R&D 시설투자도 포함하기로 해서다. 정부가 지난 27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한 ‘반도체 생태계 지원 방안’에도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
내년도 통합투자세액공제 지출 규모는 6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가 경기 용인 기흥캠퍼스에 건설 중인 차세대 R&D 단지 ‘NRD-K’에 20조원을 투자하기로 하는 등 대규모 R&D 시설투자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조세 지출 중 규모가 가장 큰 보험료 특별소득·세액공제(내년도 7조5095억원)에 버금갈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당초 기재부 안팎에선 반도체 파격 지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세수 결손뿐 아니라 ‘부자 감세’ 논란을 키울 수 있는 점도 의식했다. 하지만 국내 핵심 산업인 반도체가 위기를 맞으면 국가 경제가 뿌리째 흔들릴 것이란 판단에 따라 모처럼 여야 정치권과 정부가 전격적으로 한목소리를 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재정 대신 조세 지출 확대하나
정부는 반도체 등 주력 산업뿐 아니라 서민·중산층을 대상으로도 적극적인 조세 지출 확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KBS1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재정의 지속가능성은 유지하겠지만, 내수와 민생을 위해 재정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재정이 더 확실하게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 최 부총리의 설명이다.통상 확정된 예산 지출 대비 규모를 늘리려면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야 한다. 정부는 경기를 살리기 위해서라면 내년 추경 편성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추경을 편성하려면 적자국채 발행이 불가피해 국가신용등급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 지출 대신 비과세·감면 확대 등 조세 지출을 확대하는 방안을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 통합투자세액공제
투자금액의 일정 비율을 소득세·법인세에서 공제받을 수 있는 제도로, 기업의 투자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2021년 신설됐다. 일반, 신성장·원천, 국가전략기술 및 대기업, 중견, 중소기업별로 차등 지원한다.
강경민 기자 kkm1026@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