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美 테일러 공장, 2나노 최선단 공정 승부수
입력
수정
지면A13
美 보조금 26% 줄어든 47억弗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짓고 있는 파운드리 공장을 최선단 공정인 2나노미터(㎚·1㎚=10억분의 1m) 중심으로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첨단 패키징 공정을 뒤로하고, 2㎚ 이상 공정에 집중해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인 대만 TSMC와의 기술력 격차를 좁힌다는 구상이다.
첨단 패키징 투자 보류하고
2나노 공정 기술 확보 집중
TSMC와 기술 격차 좁히기
보조금 규모는 지난 4월 체결한 예비거래각서(PMT)에서 명시한 64억달러보다 17억달러(26%) 줄었다. 삼성전자의 투자 규모가 PMT 체결 당시 총 450억달러(약 64조5200억원)에서 370억달러로 축소됐기 때문이다. 전체 투자 금액 대비 보조금 비중은 12.8%로 TSMC(10.2%), 인텔(7.8%), 마이크론(4.9%) 등에 비해 높은 편이다.
삼성전자는 당초 2030년까지 4㎚, 2㎚ 파운드리 공장 두 곳과 첨단기술 연구개발(R&D) 시설, 3D 고대역폭메모리(HBM)와 2.5D 패키징을 위한 첨단 패키징 시설을 지을 계획이었다.
하지만 시장 상황을 감안해 첨단 패키징 시설 투자를 보류하고, 4㎚, 2㎚ 의 파운드리 공장 두 곳에 대해선 2㎚ 중심으로 재검토하기로 했다. R&D 시설은 계획대로 건설할 예정이다.
삼성전자가 2㎚ 이상 공정에 집중하기로 한 건 엔비디아, AMD 등 글로벌 고객사들의 최선단 공정 수요가 늘어나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사령탑으로 선임된 한진만 파운드리 사업부장(사장)이 9일 임직원에게 보낸 첫 메시지에서 사업 재건을 위해 “2나노 공정의 빠른 ‘램프업’(ramp up·생산량 확대)”을 주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김채연 기자/워싱턴=이상은 특파원 why29@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