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불매운동·노조파업…'연말 대목'에 암울한 스타벅스
입력
수정
○이달 들어 -12%
2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스타벅스는 2.82% 상승한 89.91달러에 마감했다. 지난 11일부터 23일까지 8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했다가 약 2주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월간 성과는 좋지 않다. 스타벅스 주가는 이달 들어서만 12.16% 떨어졌다. 20일 스타벅스 노조가 회와의 협상을 중단하고 파업을 선언한 여파로 23일에는 약 4개월 만의 최저가(87.44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미국 경제매체 배런스는 “파업한 매장 비중은 적지만, 일 년 중 가장 큰 대목인 크리스마스 시즌에 발생했기 때문에 악영향이 크다”고 전했다.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쇼핑을 마무리하며 스타벅스에서 라테와 같은 비싼 음료를 마시는 소비자들이 많고, 연말 선물로 스타벅스 기프트 카드를 대량 구입하는 소비자들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외 경쟁력 하락
파업이 발생하기 이전에도 스타벅스는 국내외 경쟁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이며 주가가 지지부진했다. 스타벅스가 지난 10월 공개한 2024 회계연도 4분기(7~9월) 미국 동일 매장 매출은 전년 대비 6% 줄어 3분기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연 매출은 361억달러로 전년 대비 1% 증가하는 것에 그쳤고, 영업이익은 8% 줄어든 54억달러를 기록했다.니콜 신임 CEO는 ‘스타벅스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갈 것을 주문하며 서비스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 패스트푸드점과 같은 이미지를 없애는 정책을 추진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스타벅스로 발길을 돌리지 않았다. 최근 실적발표에서는 2025 회계연도 실적 전망을 중단하기도 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2025회계연도 매출은 올해보다 3% 증가한 372억달러, 영업이익은 5% 감소한 51억달러로 추정된다.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인 중국에서는 현지 업체와의 경쟁에서 밀리는 실정이다. 4분기 중국에서 동일 매장 매출이 14% 급감했다. 대표적인 경쟁사는 중국 토종 브랜드 루이싱커피다. 2021년 스타벅스의 매장 수를 제쳐 현재 중국 본토 매장 수가 스타벅스의 세 배 수준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이후 미·중 무역분쟁이 확대되면 중국 소비자의 미국 브랜드에 대한 반감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