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내란 수습이 먼저"…여야정협의체 엎은 野
입력
수정
지면A4
韓겨냥 "내란 잔당이 계속 준동
물러날 때까지 협의체 안 열어"
與 "野, 대화 의지 없는 것 확인"
당초 이날 국회에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우원식 국회의장, 권성동 국민의힘 대표 권한대행, 이재명 민주당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여야정협의체 출범 모임이 열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첫 회의 의제 설정을 위한 실무협의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무산됐다. 강유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내란 사태 회복 내지는 극복 과정으로 보고 국정안정협의체 도입이 필요하다고 했다”면서도 “지금은 내란 수습이 먼저”라고 못 박았다.
특히 한 권한대행을 겨냥해 “지금 상황은 오히려 내란 잔당의 준동이 계속되고 있어 내란 극복 차후 과제보다 내란 진압이 먼저”라고 말했다. 사실상 한 권한대행을 ‘내란 잔당’으로 규정하며 직무에서 물러날 때까지 한 테이블에 앉지 않겠다는 의미다. 강 대변인은 “(여야정협의체 출범은) 사실상 어렵다고 봐야 한다”고도 했다.
여야정협의체는 이 대표의 지난 15일 제안을 정부와 국민의힘이 받아들이며 구성하기로 한 모임이다. 당시 이 대표는 추가경정예산안 편성과 국가기간전력망법 처리, 지역화폐법 처리 등을 이유로 협의체 구성을 요구했다. 대통령 직무 정지 이후 민생·경제·외교·안보 등 중요 이슈를 함께 논의해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자는 주장도 담았다.
이에 따라 협의체를 먼저 제안한 민주당이 입장을 뒤집은 데 대한 비판도 나온다. 당초 국민의힘은 이에 부정적인 입장이었지만, 23일 우 의장과 양당 원내대표 회동을 거쳐 이날 출범에 합의했다. 여야정협의체가 무산되며 민주당이 요구한 내년 초 추경 편성 역시 무산될 전망이다.
서지영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탄핵 중독 정당다운 모습으로 국정 안정을 위한 대화 의지조차 없음이 확인됐다”며 “대통령 권한대행에 이어 장관들 줄 탄핵으로 언제 ‘무정부’ 상태가 될지 모를 나라에 과연 누가 투자하겠느냐”고 지적했다.
정소람 기자 ram@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