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타에서의 생존 게임…'속옷 더미' 지키려 목숨 건 남자들
입력
수정
영화 리뷰콜롬비아의 보고타. 누군가에겐 지도를 보고도 어디에 있는지 한 번에 찾지 못할 낯설고 먼 땅이지만 대한민국에서 역시 그러하듯, 도시에는 생계를 위해 목숨을 거는 한국인들로 가득하다. 모두가 모두를 아는 이 작은 커뮤니티에서 누군가는 누군가를 속이고, 배신하고, 처단하는 일상이 반복된다. 이곳 보고타에서 생계의 문제는 생존의 문제다. 그렇기에 먹고 사는 편에 설 것인지, 아니면 도태되어 시체로 남을 것인지, 한순간이라도 먼저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희망 없는 인생,
기회는 바로 그 곳에 있었다
이야기의 시작은 1997년, IMF로 ‘아작이 난’ 한국이다. ‘국희’(송중기)의 가족은 부도난 조국을 뒤로하고 콜롬비아의 보고타로 이민을 떠난다. 국희의 아버지, ‘근태’(김종수)는 미국에서 비자를 받을 때까지만 이라며 가족들을 안심시키지만 국희와 그의 엄마는 이 나라가 낯설기만 하다. 그러나 호기롭게 이민행을 택한 근태는 그 어디에서도 일을 구하지 못하고, 그와 반대로 국희는 한국으로부터 속옷 밀수 사업을 하는 ‘박병장’(권해효)의 눈에 들어 승승장구하게 된다. 국희는 박병장과 함께 일을 함께 하는 또 다른 교포, ‘수영’(이희준)의 신임까지 얻어 내며 궁극적으로는 커뮤니티 최고의 사업가로 성장한다.
늘 그렇듯, 범죄의 공모는 피 튀기는 대단원으로 결말을 맺는다. 더 이상 불법만으로는 사업을 유지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국희와는 다르게 박병장과 수영은 뇌물과 권모술수를 기반으로 하는 ‘올드 패션드’ 방식을 고수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의 공모는 누군가의 더 큰 권모술수로 파국을 맞는다.
이러한 사실적 배경을 영화적으로 구현한다고 했을 때, 이들이 서로에게 총을 난사하며 지키려는 것이 고작 속옷 더미라는 설정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다시 말해, 영화는 속옷 밀수 사업과 함께 이들이 목숨을 걸고 영역 전쟁을 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명분을 갖추었어야 했다. 반대로, ‘속옷 카르텔’이라는 하나의 신박한 컨셉에 충실 했다면 현재의 누아르적 구성이 아닌, 코미디나 휴먼 드라마와 같은 장르로 이야기와 장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현명했을 것이다. 이야기의 빈약함, 영화의 구성적인 불균형은 분명 아쉬운 부분이다. 2015년, <소수의견>을 마지막으로 10여년 동안이나 작품을 내놓지 못했던 감독의 공백이 엿보이는 부분이기도 하다.
김효정 영화평론가·아르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