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창업자 유일한 박사는 항일 스파이였다?
입력
수정
[arte] 김상우의 아주 사적인 연극일기창작 뮤지컬로 이번에 처음 무대에 올려진 ‘스윙데이즈_암호명 A’는 일제강점기 말인 1945년을 배경으로 한다. 냅코 프로젝트(NAPKO Project)라는 비밀 독립작전의 실화를 기반으로 하는데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유한양행의 설립자 기업인 고(故) 유일한(1895~1971) 박사의 일대기를 조명했다. 나는 안티푸라민으로 유명한 유한양행이 나무 심기 등 환경보호와 사회공헌에 앞장서는 훌륭한 기업인 것은 알고 있었지만 유일한 박사가 항일 첩보원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였다는 사실은 미처 몰랐다. 실제로 그가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전신인 전략첩보국(OSS) 소속으로 독립운동가들을 연결하고 지원하는 암호명 A의 요원이었다는 것은 1990년대에 들어서야 밝혀졌다고 한다.
뮤지컬 '스윙 데이즈_암호명 A'
구한말과 닮은 꼴인 이 시대,
독립운동가의 용기 되새겨야
막이 오르면 유일형 사장이 주최하는 화려한 파티가 한창이다. 그는 미국에서 성공한 사업가로 남몰래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그의 곁에는 오랜 친구인 만용이 있고, 일본군 중좌가 된 또 한 명의 옛 친구 야스오는 그를 의심하고 줄곧 행적을 뒤쫓는다. 유일형은 OSS의 스파이가 되어 조선에 제약회사를 설립하고 조선총독부 총독 곤도의 신임을 얻어 사업을 확장하며 일본의 고급 정보를 캐낸다. 이러한 줄거리를 바탕으로 유일형의 중국인 약혼녀 호메리, 여성 독립운동가 베로니카 등도 등장하는데 기본적으로 이야기 구성이 탄탄하다.
스스로 황제가 된 고종처럼 제국을 꿈꾸듯 손바닥에 왕이라는 글자를 쓰고 다녔던 대통령이 한 달 전 어이없게도 계엄을 선포하고 국회를 마비시키려 했다. 뿐만 아니라 계엄을 정당화하기 위해 북한과의 국지전을 유도하려 한 정황이 있다. 만일 실제로 군사 충돌이 이어졌다면 또다시 이 땅에 전쟁이 터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 경우 호시탐탐 한반도 진출을 노리는 일본 자위대가 미국과의 글로벌 동맹을 명분 삼아 이 땅에 다시 들어올 가능성도 있다. 최근 정부의 대일 외교는 오히려 그 가능성을 한층 높여주는 쪽이었다.
계엄이 선포된 그날 밤, 나는 맨몸으로 달려 나와 장갑차를 막아서고 국회를 에워싼 이름 모를 시민들에게 말 못할 정도로 크게 감동했다. 그 용기는 어디서 나온 것일까. 거슬러 올라가면 독립운동 전에 항일 의병이 있었다. 임진왜란 때 시작되어 을사의병, 정미의병을 거쳐 독립군으로 이어진 그 정신이 지금의 우리들 DNA에 새겨져 있을 것이다. 일본 군국주의의 총칼 앞에 스러져간 수많은 의병. 그리고 독립운동가들. 이제 그 안에 유일한 박사의 이름을 넣어 기억해야겠다. 한 편의 뮤지컬이 구한말 같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이 시대의 우울을 위로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