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남부터 전민철까지...한국의 발레리노
입력
수정
발레리노를 향한 팬덤 형성된 오늘날열세 살 소년의 얼굴은 비장했다. 태양신인 아폴론으로 분장하고 무대에 올라 자기 자신을 우주의 중심인 태양으로 바라보도록 만든 왕. 어린 왕은 말 대신 발레로 강력하게 왕권신수설을 표출한 것이다. <밤의 발레Ballet de la Nuit>(1653)에 직접 출연한 프랑스 왕, 루이 14세(1638~1715)의 일화다. 그는 사람들이 기억하는 최초의 발레리노다. 그렇다면 발레사에 우리나라 발레리노는 언제쯤 등장했을까. 우리나라 발레 역사에서 그 시작점이 된 사람이자 대부로 불리는 이는 임성남(1929~2002)이다. 그는 1962년 국립무용단 단장으로, 이후 1972년 여기서 분리되어 나온 국립발레단의 초대 단장으로 30년간 무용계를 이끈 인물이다. 이 발레리노의 신화는 194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발레의 가치와 본질로 한 발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되길
로그인 후 읽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