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자녀 한명당 1억씩…부영의 결정이 나비효과 됐으면"

Zoom In - 누적 98억 출산장려금 지급한 이중근 회장

작년 이어 올해 28억 지원
"출산율 늘 때까지 계속할 것"
사내 정년 연장도 검토 중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 제안
"6·25 참전 유엔군 희생 기려야"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가운데)이 5일 열린 올해 시무식에서 출산 직원 자녀 1인당 1억원씩, 28억원의 직원 출산장려금을 지급했다. 부영 제공
“아이를 낳을지 고민하다가 출산장려금 소식에 결심할 수 있었습니다.”

5일 서울 세종로 부영빌딩에서 열린 부영그룹 ‘2025년 시무식’에서 출산장려금 1억원을 받은 연주흠 동광주택 대리는 “아내도 육아휴직을 신청해 마음 놓고 아이를 돌보기로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연 대리가 결혼 5년 차에 본 딸(연서은)도 시무식에 참석해 울지 않고 자리를 지켰다.

부영그룹은 이날 지난해 출산한 직원 자녀 1인당 1억원씩 28억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했다. 지난해 시무식에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출산한 직원에게 70억원 지급한 것을 포함하면 지금까지 98억원의 장려금을 지원했다. 부영그룹은 지난해 출산장려금 제도를 도입해 이목을 끌었다. 저출생 문제가 지속된다면 20년 후 생산가능인구 감소, 국가 안전 보장과 질서 유지를 위한 국방 인력 부족 등 국가 존립의 위기를 겪을 것으로 보고 해결책을 제시한 것이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은 이날 “우리가 마중물이 돼 국채보상운동과 금 모으기 캠페인처럼 많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출산을 지원하는 나비효과로 번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출산장려금 효과도 나오고 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23명의 아이가 태어난 데 이어 올해는 5명 늘어 28명이 출산장려금 혜택을 받았다. 이 회장은 “출산장려금 지급으로 경제적 부담이 줄어든 효과 덕분”이라고 풀이했다. 그는 “저출생 해법의 확실한 대안이 된 것”이라며 “출산율이 1.5명으로 늘어날 때까지 장려금 지급을 계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한노인회 회장이기도 한 그는 부영그룹의 정년 연장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이 회장은 현재 기준에서는 2050년이면 인구 5000만 명 중 2000만 명이 노인이 된다며 노인 기준을 65세에서 75세로 단계적으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는 “정년 연장을 희망하거나 능력이 있는 사람을 중심으로 정년 연장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영구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는 데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현행 민간임대주택은 분양 전환을 목표로 하는 ‘분양 대기 임대주택제도’로 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임대주택 중 30%는 거주만을 위한 영구임대주택으로 짓고, 70%는 분양하는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며 “집을 소유하지 않고도 평생 살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날 ‘유엔데이(10월 24일) 공휴일 지정’도 제안했다. 6·25 전쟁에 참전한 유엔군의 노고에 감사하고 이를 기억하기 위해서다. 그는 “6·25 전쟁은 유엔군 60개국(16개국 전투지원, 6개국 의료지원, 38개국 물자지원)이 유엔 창설 후 처음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라며 “그 희생 위에 대한민국이 존재한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강영연 기자 yykang@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