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1300년전 신라 태자의 공간…'진짜 동궁지' 찾았다

국가유산청 10년 조사 성과 공개
월지 서편 아닌 동편이 '진짜 동궁'
넓은 마당과 연못, 상하수도 체계 갖춰
상아 주사위, 금속 공예품 등 출토
"1300년 전 신라의 태자는 손에 작은 상아 주사위를 만지작거리며 동궁을 거닐고 있었습니다. 서쪽으로 높이 보이는 왕궁을 바라보며 나라의 밝은 미래를 꿈꾸지 않았을까요."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신라왕경 핵심유적 발굴조사 10년 성과공개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국가유산청은 태자의 공간인 동궁지(東宮址) 등 신라 왕실 유물에 관한 최신 발굴 성과를 공개했다. 국가유산청은 2014년부터 신라의 궁궐인 월성(月城) 등 왕실 관련 유적 14곳을 정비·복원하고 있다.
먼저 동궁이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 부지가 경북 경주 월성의 동편에서 발견됐다. 그동안 궁궐 내 호수인 월지(月池) 서편의 대형 건물지가 동궁의 터로 알려져 왔다. 이곳이 아니라 월지 동쪽으로 220m가량 떨어진 곳에 '진짜 동궁'이 있었다는 주장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기존 동궁으로 추정했던 곳은 건물의 위계가 높아 동궁으로 확정하기 어려웠다"며 "새롭게 발견된 동궁지가 진짜 동궁지일 가능성이 95%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확인된 동궁지의 존재는 2020년 발굴조사 과정에서 처음 알려졌다. 정면 25m 측면 21.9m로 약 460㎡(139평) 규모다. 궁궐 마당에 연못을 조성해 꾸민 흔적과 독립적인 상·하수도 체계, 남북으로 길게 뻗은 복도식 구조물이 확인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문무왕(626~681) 재위 시절인 679년 "동궁을 짓고 처음으로 궁궐 안팎 여러 문의 이름을 지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경주 Ⅱ-나지구 원지 대형건물지 전경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이 월지 동편의 동궁 터를 '진짜 동궁지'로 보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기존 동궁지로 알려졌던 월지 서편의 동궁지가 태자의 공간으로 보기에 위계가 지나치게 높다는 이유가 하나다. 월지 서편에 있는 건물은 정면 7칸, 측면 4칸 규모로 동쪽보다 크다. 최 청장은 "월지 서편의 건물지는 최상위 건물지로, 주변보다 지대가 2m가량 높은 등 '왕의 위계'를 강조했다"고 말했다.

월지 동편에서 동궁과 관련된 유물이 잇따라 출토된 점도 이런 가설을 뒷받침한다. 상아를 깎아 만든 정육면체 주사위가 2017년 발굴됐다. 2022년엔 얇게 편 금박에 화조도를 새긴 선각단화쌍조문금박이 추가로 발견됐다. 국가유산청은 "최고 수준의 고급 놀이기구와 신라 공예를 대표하는 유물을 통해 태자가 기거한 동궁의 일상을 유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월지 동편에서 출토된 상아주사위 각 면의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이날 왕궁인 월성 일대에서 새롭게 출토된 유물들도 공개했다. 개를 제물로 바친 듯한 의례 흔적이 그중 하나다. 목재를 불에 태운 듯한 흔적이 남은 직경 6m 규모의 제단 터에 46㎝ 크기의 중형견 유골이 놓여있다. 둥근 고리가 달린 칼과 청상아리 이빨 12개, 콩 1200여 알 등도 함께 발견됐다. 최 청장은 "1~4세기 신라 초기의 의례 모습을 밝히는 주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경주 신라 유구 동쪽 지점에 출토된 개 유골 /국가유산청 제공
월지 일대는 과거 '안압지(雁鴨池)'로 알려진 곳이다. 2011년 '경주 동궁과 월지'로 명칭이 변경됐다. 지금까지 부속 건물인 누각 3채가 복원됐다. 최 청장은 "역사의 숨어있던 1㎝를 찾아내 살아있는 역사로 되살리는 것이야말로 국가유산청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이라며 "살아있는 신라의 이야기를 기대해 달라"고 말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이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신라왕경 핵심유적 발굴조사 10년 성과공개회'에서 월지 일대의 발굴조사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국가유산청 제공
안시욱 기자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