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과 싸워온 로테르담, 기후변화 시대 발맞춰 '물과의 공존'에 주목"
입력
수정
지면A4
파울 라베 에라스뮈스대 교수
파울 라베 에라스뮈스대 도시계획학과 교수(사진)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로테르담을 비롯한 네덜란드 주요 도시가 물과의 공존에 주목하기 시작했다”며 “도시를 설계하고 계획할 때 물에 대한 저항이 아니라 수용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담론이 형성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제방을 올려 인위적으로 벽을 세우는 방식으로는 해수면 상승 문제에 근본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것이다.
라베 교수는 2022년 아시아 도시 개발 역사에서 수자원의 역할을 조명한 책을 출간해 국내에서도 주목을 끌었다. 특히 이 책에서 수원천 복원 프로젝트가 경기 수원 화성 관광 수요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미친 영향을 소개하기도 했다.
라베 교수는 “물 위에 뜬 ‘플로팅 건축물’을 중심으로 한 로테르담시의 라인하벤 항구 재개발 프로젝트가 물에 대한 저항에서 수용으로 개발 철학이 변모하고 있는 대표적 사례”라고 소개했다. 라인하벤 항구 주변엔 2021년 완공된 ‘플로팅 오피스 로테르담(FOR)’과 함께 9만㎡ 규모의 플로팅 공원도 조성될 예정이다. 그는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이 지역은 청계천처럼 물이 시민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성공적인 도심 재개발 사례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테르담시는 1960년대부터 대형 컨테이너선이 좁은 강폭으로 이뤄진 도심 항구에 접근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항구 시설 대부분을 약 40㎞ 떨어진 북해 인근으로 옮겼다. 이에 따라 도심 곳곳에 재개발이 필요한 유휴 항구가 방치돼 있다.
현지 건축 전문가들은 플로팅 건축물이 해수면 상승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탄소중립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건축 방식이라고 평가한다. 플로팅 오피스 설계를 담당한 건축가 알베르트 다카시는 “플로팅 건축물은 물을 건물 전체로 순환시켜 에어컨 없이도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고 했다.
로테르담=정희원 기자 tophee@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