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인도서 일냈다… 사상 최대 실적 달성
입력
수정
인도법인 순이익 전년比 43%↑
IPO작업도 탄력받을 듯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LG전자 인도법인은 지난해 매출 3조791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8% 늘었다. 일등 공신은 올레드 TV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전 부문이었다. 시장조사업체 레드시어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해 인도시장에서 상반기 기준 세탁기 점유율 33.5%, 냉장고 28.7% TV 25.8%를 기록했다.
외형만 커진 게 아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3318억원으로 전년 대비 무려 43.4%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LG전자가 현지서 ‘국민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폭풍 성장이 가능했던 건 LG전자의 적극적인 사업 확장 전략 덕분이다. LG전자는 1997년 인도법인 설립한 뒤 연구개발(R&D)부터 생산, 판매에 이르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노이다와 푸네에 생산법인도 세웠다. 2023년 푸네에 추가로 냉장고 생산 시설 확충에 나선데 이어 인도 남부 지역에 신규 생산시설 구축도 추진 중이다. 투자 규모만 약 8300억원에 이른다.
LG전자가 인도 시장에 공들이는 이유는 단연 높은 성장성 때문이다. 인도는 인구 수 14억명으로 전세계에서 인구수가 가장 많다. 그럼에도 세탁기, 냉장고 등 가전 제품의 보급률은 20~30%에 불과하고 에어컨 보급률은 10%가 채 되지 않는다. LG전자의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의미다.
특히 인도는 풍부한 노동력 덕분에 중국을 대신할 글로벌 생산기지로 적합하다는 평가다. 상업시설, 기업, 교육기관 삼박자를 두루 갖추고 있어 LG전자가 힘을 싣고 있는 기업간 거래(B2B) 사업을 성장시키기에도 최적의 요건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LG전자의 인도법인 IPO 작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LG전자가 지난주 인도 뭄바이 지역에서 현지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자설명회엔 투자사당 여러명의 관계자가 참석할 정도로 큰 관심을 모았다. 투자자들도 LG전자의 견고한 시장 지위와 판매 네트워크를 토대로 성장성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는 내달 말까지 인도 뭄바이에 이어 싱가포르, 홍콩, 보스턴 등에서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번 IPO가 순조롭게 성공하면 최대 18억달러(약 2조6000억원)를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LG전자는 전망하고 있다. 기업가치는 130억달러(약18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채연 기자 why29@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