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증시, '관세 리스크' 이긴 AI랠리·경기부양
입력
수정
지면A18
미국발 관세 리스크에도 중국 증시는 굳건한 모습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가 관세로 중국을 압박하고 있지만 인공지능(AI)산업과 중국 정부의 공격적인 경기 부양책에 거는 기대가 상승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7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25% 떨어진 3372.55에 거래를 마쳤다. 주간 단위로 보면 지난 한 주간 1.55% 올랐다. 대형주로 구성된 CSI300지수도 이날 전 거래일 대비 0.31% 하락한 3944.01로 장을 마감했지만 주간 단위로 1.38%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4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이달 4일 추가로 10%를 더해 총 20%의 추가 관세를 매겼다. 미국의 관세 부과는 중국 수출에 타격을 주고 있다. 중국의 올 1~2월 수출은 5399억4000만달러(약 780조원)로 지난해 동기 대비 2.3% 증가해 시장 전망치(5%)에 한참 못 미쳤다. 지난주 후반 중국 증시를 끌어내린 것도 미국의 관세 압박 우려 탓이다.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제시하고 재정적자 비율을 역대 최고인 국내총생산(GDP)의 4%로 정하면서 경기 부양 효과를 기대하는 투자자가 많아졌다. 11일 양회 폐막에 맞춰 나오는 중국 정부의 새로운 메시지와 미·중 협상 복귀 여부에 따라 중국 증시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김은정 특파원 kej@www5s.shop
지난 7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25% 떨어진 3372.55에 거래를 마쳤다. 주간 단위로 보면 지난 한 주간 1.55% 올랐다. 대형주로 구성된 CSI300지수도 이날 전 거래일 대비 0.31% 하락한 3944.01로 장을 마감했지만 주간 단위로 1.38%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4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이달 4일 추가로 10%를 더해 총 20%의 추가 관세를 매겼다. 미국의 관세 부과는 중국 수출에 타격을 주고 있다. 중국의 올 1~2월 수출은 5399억4000만달러(약 780조원)로 지난해 동기 대비 2.3% 증가해 시장 전망치(5%)에 한참 못 미쳤다. 지난주 후반 중국 증시를 끌어내린 것도 미국의 관세 압박 우려 탓이다.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제시하고 재정적자 비율을 역대 최고인 국내총생산(GDP)의 4%로 정하면서 경기 부양 효과를 기대하는 투자자가 많아졌다. 11일 양회 폐막에 맞춰 나오는 중국 정부의 새로운 메시지와 미·중 협상 복귀 여부에 따라 중국 증시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이징=김은정 특파원 kej@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