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로봇 950대가 車 제작…SF 영화 같아
입력
수정
지면A12
메타플랜트아메리카 가보니‘조용하고 사람을 찾기 힘든 공장.’ 지난 27일 찾은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의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는 이처럼 요약된다. 프레스, 차체, 도장, 의장 등 자동차 생산 공정부터 부품과 차량 운반, 품질 검사 업무까지 로봇이 대거 투입된다. 생산라인에만 950여 대의 로봇이 투입돼 근로자(880여 명)보다 많다.
로봇 개 '스폿'이 품질 검사
컨베이어 벨트 대신 AGV가 운반
생산 첫 단계인 프레스 공정은 통상 소음이 큰 편이지만, HMGMA 공장 안은 도서관으로 착각할 정도로 고요했다. 6800t급 초대형 고속 프레스 5대에 쿠션과 서브 모터를 설치, 프레스의 누르는 속도를 조절해 소음을 줄인 덕분이다. 차량 패널을 용접·조립해 차체를 완성하는 차체 공장은 로봇으로 자동화율 100%를 달성했다. 차체 공정 마지막 단계인 외관 품질 검사는 현대차그룹의 로봇전문 계열사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폿’이 맡는다. 스폿이 카메라로 차체를 촬영하고 그 이미지를 기준점과 비교해 합격 여부를 판단한다.
도장을 마친 차량에 3만여 개의 부품을 조립해 차량을 완성하는 의장 공장에는 세계 최초로 차량 문을 자동으로 탈거하고 장착하는 시스템을 적용했다. 단차(외관 이음새 등이 벌어지거나 맞지 않는 상태) 등을 우려해 그동안 사람이 해온 작업이지만, HMGMA에선 인공지능(AI) 기반 카메라 시스템을 장착한 로봇이 맡는다.
조립을 위해 차체를 움직이는 컨베이어 벨트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자율주행운반로봇(AGV)이 대신 차체를 운반한다. 차체에 장착되는 자동차 부품도 200여 대의 자율이동로봇(AMR)에 실려 공정에 투입된다. 의장 공정이 끝난 차량은 주차로봇에 올라탔다. 로봇 한 쌍이 앞·뒷바퀴 밑에서 차량 하부를 들어 올려 무인 품질 검사를 거치면 생산이 끝난다. AGV와 AMR, 주차로봇이 한 곳에서 돌아다니는 모습은 공상과학(SF) 영화에서나 볼 법한 장면이었다.
엘라벨=김보형 기자 kph21c@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