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질환 보장 강화한 5세대 실손…도수치료·비타민 주사엔 보험금 안준다
입력
수정
지면A8
'필수의료 붕괴 주범' 실손 개편금융당국이 ‘필수 의료 붕괴 진앙’으로 꼽히는 실손의료보험에 칼을 빼들었다. 실손보험의 중증 질환 보장을 강화하는 대신 비중증·비급여 진료에 대해선 가입자 부담을 확 키우기로 했다. 올해 말 출시하는 5세대 실손보험에선 도수치료, 비타민 주사 등 과잉 비급여 항목에는 보험금을 아예 지급하지 않는 방안도 추진된다.
비중증 비급여 자기부담률 50%
4세대보다 보험료 30~50% 저렴
하지만 실손보험 누수의 주원인으로 지목받는 비중증 비급여에 대해선 관리를 대폭 강화한다. 암, 뇌혈관·심장질환 등 중증 비급여에 대해선 4세대와 동일한 보상한도(연 5000만원), 자기부담률(30%)을 유지한다. 반면 비중증 비급여 부문은 연간 보상한도를 1000만원으로 축소하고 자기부담률을 50%로 높인다. 도수치료를 포함한 근골격계 치료와 비급여 주사제 등 일부 비급여 항목은 보험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한다.
비급여 보장 항목이 줄어든 대신 보험료는 대폭 낮아진다. 금융당국은 5세대 상품의 보험료가 4세대 대비 30~50%가량 저렴할 것으로 예상했다. 당국 관계자는 “1세대 상품과 비교하면 5세대 상품의 보험료는 6분의 1 수준으로 낮다”고 말했다. 당국은 급여와 중증 비급여(특약1)를 보장하는 상품을 먼저 올해 출시하고, 비중증 비급여(특약2)는 내년에 내놓기로 했다.
그동안 실손보험과 관련해 △무분별한 ‘의료쇼핑’ 초래 △의료 인력 쏠림 현상 심화 △건보 재정 악화 △보험료 인상에 따른 가입자 부담 증가 등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금융당국은 실손보험 개혁을 통해 불필요한 의료쇼핑을 방지하고 필수 의료 기피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일부 의사단체가 “실손보험 개혁으로 보험사 이익만 늘어난다”고 주장한 데 대해선 강하게 반박했다. 당국 관계자는 “실손보험 개혁이 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을 위한 것이었다면 보험료를 인상하는 방안이 가장 효과적이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 실손보험에 가입한 소비자는 5세대 상품과 무관하게 기존 계약대로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재가입 주기가 있는 2세대 후기 및 3·4세대 가입자 약 2000만 명은 향후 순차적으로 5세대 상품으로 갈아타야 한다. 반면 재가입 조항이 없는 1세대(654만 건)와 2세대 초기(928만 건) 가입자는 만기까지 기존 계약을 유지할 수 있다. 보험사들은 올 하반기 1·2세대 가입자를 대상으로 일정 보상금을 제공하고 계약을 해지하는 계약 재매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형교 기자 seogyo@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