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오면 '6400만원' 준다"…병력 부족에 난리난 나라
입력
수정
2일(현지시간) CTK통신 등 현지 언론은 체코 의회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직업군인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체코 의회는 3개월간 군사훈련을 마치고 일시불로 지급하는 상여금을 현재 25만 코루나(한화 약 1613만원)에서 최대 100만 코루나(한화 약 6450만원)로 인상하고 주택·통근 수당 등 다른 인센티브도 확대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대학을 졸업하고 7년 이상 장기 복무를 계약하면 최대 45만 코루나(한화 약 2900만원)를 추가로 받는다고 CTK는 전했다.
체코군 병력은 지난해 초 기준 현역 2만7826명, 예비군 4266명이다. 군은 2030년까지 현역 3만명, 예비군 1만명으로 병력을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체코는 냉전 시절 소련이 주도하는 군사동맹 바르샤바조약기구에 속했다. 소련 해체 이후 1999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 가입하고 2004년 징병제를 폐지했고, 10만명에 육박하던 병력은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유럽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복무 연령대 청년들이 입대를 꺼려 병력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지 매체 체코라디오의 설문 결과, 자국이나 나토 동맹국이 공격받아 집단방위 조항이 발동될 경우 입대하겠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만 '반드시 입대하겠다'고 답했다.
'생각해보겠다'는 답변도 14%에 그쳤고, 나머지 80%는 '입대하지 않겠다'고 대답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