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고수들 "美지수·방산에 집중 투자"
입력
수정
지면A13
신한銀 수익률 상위 100명 분석보수적인 은행 퇴직연금 투자자들이 최근 공격적인 투자 포트폴리오를 운용하기 시작했다. 이른바 ‘연금 고수’는 미국 뉴욕증시에 투자하는 지수형 상장지수펀드(ETF)를 대거 포트폴리오에 담은 것으로 파악됐다. 난도가 높아진 증시에 맞서 단기채권으로 방어하는 연금 전략도 구사하고 있다.
1년 수익 11%…K방산 펀드 매집
S&P500·국내 단기채 많이 편입
보수적 투자자도 '공격 앞으로'
채권펀드 늘리며 변동성 대응
◇미국·방산에 꽂힌 고수들
연금 고수가 가장 많이 보유한 종목은 피델리티 글로벌테크놀로지 펀드다. TSMC,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이다. 최근 1년 수익률이 두 배 이상 뛴 PLUS K방산 ETF가 뒤를 이었다. 인도 주요 은행인 HDFC, ICICI를 비롯해 릴라이언스, 마힌드라 등 주요 기업에 투자하는 삼성 인디아 펀드도 연금 고수들의 선택을 받았다.
퇴직연금 가입 이후 고수들의 연평균 수익률은 10.6%로 나타났다. 지난 1년 수익률도 11.14% 수준이었다. 다만 최고 수익률(64.78%)과 최저 수익률(-4.18%) 간 격차가 역대급으로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연금 투자의 특성상 장기 투자 성과를 분석한 수치”라며 “다만 최근 증시 난도가 높아져 고수들 사이에서도 희비가 갈린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달라진 투자 성향
최근 증시 변동성이 커지자 미국 주요 지수에 투자하는 지수형 ETF에도 뭉칫돈이 몰렸다. 수익률 상위 100명이 최근 한 달 새 가장 많이 사들인 상위 5개 종목엔 TIGER 미국S&P500 ETF, 신한 미국S&P500인덱스 펀드, ACE 미국S&P500 ETF, ACE 미국S&P500채권혼합액티브 ETF 등이 포함됐다. 모두 S&P500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는 미국 증시에 대한 연금 투자자들의 믿음이 반영된 결과”라며 “도널드 트럼프발(發) 관세 충격으로 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안전판’ 역할을 하는 채권형 공모펀드에 대한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미국 성장 테마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용하던 연금 고수들은 한국투자 크레딧포커스ESG 펀드를 집중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A등급 이상 국내 채권(회사채·금융채)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연금 고수의 포트폴리오는 통상 은행을 통해 연금을 운용하는 일반 투자자와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신한은행 전체 연금 가입자의 경우 우리 하이플러스 채권 펀드를 가장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투자 크레딧포커스ESG 펀드는 연금 고수는 물론 전체 고객의 선택을 받았다.
업계에선 증권사 대비 투자 성향이 보수적인 은행 고객들 사이에서도 연금 투자 열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퇴직 연금 실물 이전으로 금융회사 간 경쟁이 치열해진 데다 연금을 공격적으로 운용하려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어서다. 신한은행을 비롯한 주요 시중은행은 ETF 라인업을 대거 확대하며 고객몰이에 나섰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