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합의하면 혜택” 트럼프 韓에 경제동맹 카드 압박
입력
수정
베선트 장관은 “먼저 움직이는 쪽이 최고의 합의를 얻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중 무역 갈등 상황에서 미국이 동맹국과의 신속한 합의를 통해 중국에 경제적 압박을 집중하려는 전략이라는 해석으로 보인다.
14일(현지시간) 베선트 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지난주에는 베트남, 수요일에는 일본과 협상을 했고 다음 주엔 한국과 논의가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협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이며 ‘퍼스트 무버 어드밴티지(first mover advantage, 선점자 우위)’를 갖는 국가가 유리한 조건을 가져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각국에 ‘최선의 제안(A-game)’을 가져오라고 말하고 있다”며 “그 제안이 무엇인지 보고 그 지점에서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는 무역 협상을 넘어 방위비 분담, 에너지 협력 등 다양한 안보 사안까지 연계된 미국식 패키지 협상의 압박 메시지로 풀이된다.
미국 주요 언론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은 한국, 일본, 인도, 호주, 영국 등 5개국을 1차 협상 대상으로 설정하고 관련 당국자들과 접촉해왔다.
이들 국가는 대부분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 또는 한미일 안보 협력체와 같은 대중 견제 목적의 다자기구에 속한 나라들로 미국이 동맹국과의 경제적 공조를 통해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구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베선트 장관 역시 “그들은 훌륭한 군사동맹이었지만 완벽한 경제동맹은 아니었다. 이제는 그룹으로 중국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며 관세 협상을 통한 대중 포위 전략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본격적인 대미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르면 다음 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방미해 고위급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한국은 미국의 25% 상호관세 적용 대상이긴 하지만 90일 유예 조치로 시간적 여유를 확보한 상태다. 그러나 이미 10% 기본관세가 적용되고 있으며 철강·자동차에 더해 반도체와 의약품 등 주요 수출품목에 대한 추가 관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무역수지 개선, 비관세 장벽 완화 외에도 조선·에너지 협력, 미군 기지 운영 등 안보 분야 기여 확대까지 아우르는 협상 패키지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유진 기자 jinjin@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