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의대 학장들 "새 정부 출범해도 유급 유예 가능성 없다" 일축

'학사 정상화' 원칙 재확인
의과대학 학장들이 새 정부 출범에 따른 학사 유연화 가능성을 일축하며 의대생에게 정해진 기한 내 수업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전국 40개 의대학장 협의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는 15일 입장문을 내고 “의대 학사 정상화라는 정부의 목표는 확고하다”며 “이는 새 정부 출범과 무관함을 인식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교육부와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도 2025학년도 학사 유연화 계획이 없음을 여러 번 확인했다”며 “의대와 학장은 이 방침에 예외를 둘 수 없다”고 강조했다.

KAMC는 유급 시 불이익에 대해 언급하며 학생들에게 각 대학의 유급 통지 절차와 시한을 정확히 확인할 것도 당부했다. KAMC는 “각 학교는 다양한 방법으로 유급 예정을 통지할 것”이라며 “학사 일정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유급 시한 전에 수업에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본과 4학년의 경우 각 대학이 정한 복귀 시한을 넘기면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응시가 불가능하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실기시험 원서 접수는 졸업생과 졸업예정자만 가능하며 유급이 결정되면 원서를 접수할 수 없다는 게 원칙이란 설명이다.

이달 말까지 본과 4학년 학생의 유급이 결정되는 대학은 총 32곳이다. 15일까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울산대 등 13곳이 유급을 확정했다.

KAMC는 1학기 유급 시한 전에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24·25학번의 분리 교육이 불가능하거나 의미가 없다는 점도 짚었다. 24학번 학생들이 2030년 여름에 졸업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법적 학업 기간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24·25학번이 대거 유급되면 26학번까지 3개 학년이 동시에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 1학년 수가 1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교육계와 의료계는 이 같은 상황에서 동시 수업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경 기자 capital@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