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정부 차원의 조세 감면·인센티브로 지방 바이오 클러스터 차별화해야
입력
수정
지면B7
대기업 주도 M&A 활성화
수도권·글로벌 바이오업체 유치
토지 제공·자녀교육 혜택도
윤호열 전남바이오진흥원장
국내 대다수 바이오 기업들은 규모와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인 경우가 많아 성공을 보장하기도 어렵다. 국내 바이오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개인과 민간투자로는 한계가 있고,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와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바이오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 양성이 핵심이다. 바이오·헬스케어는 고도의 지식산업(핵심기술)이자, 사람에 따라 성과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다양한 전문인력(연구, 생산, 품질, 인허가, 사업개발 등) 양성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글로벌 대기업과의 네트워크를 늘려 전문인력의 질을 높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연구개발(R&D), 인수합병(M&A) 등을 국내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해, 국내 기업들과의 접점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에서 국내 핵심 바이오 대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원하는 모든 사항을 적어보라는 자세로 접근하면 좋겠다.
글로벌 시장을 경험하고 은퇴한 중·장년 임원을 지방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 모색도 필요하다.
산업 특성상 대규모 벤처캐피탈도 발달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기업공개(IPO)를 통한 자본조달은, 고위험 비즈니스인 바이오 시장의 불신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IPO 대체 시장으로 국내외 대기업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M&A시장이 활성화되도록 해야 한다.
지방은 특히 벤처캐피탈이 매우 부족하다. 지방의 사정을 잘 아는 대기업들이 이 역할을 대신하도록, 특화단지 내 벤처기업 등 일정 조건을 갖춘 모험자본형 제3자 바이오기업 향 지분투자에 대해서도 조세감면 혜택을 주는 방안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이 방법은 지방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생 효과도 부수적으로 거둘 수 있다. 현재 대기업의 조세감면은 자가 설비 투자 등 부분적으로만 가능하다.
지방 바이오는 수도권·글로벌 기업을 유치하고 창업을 통해 차별화된 자생력 있는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 산업통상자원부의 특화단지 지정은 지방 바이오 발전에 커다란 전환점이 될 수 있다.
정부는 수도권 핵심 기업들이 쉽게 지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과제나 인프라 개발을 바이오 클러스터의 특성에 따라 집중적으로 특화단지 별로 배분해야 한다.
더불어 수도권에 과밀집된 바이오 기업을 지방으로 분산하기 위해서는 파격적 인센티브가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기업 이전에 따른 추가 이득이 이전 비용보다 월등히 커야 한다.
예를 들어 토지는 무상에 가깝도록 제공해야 한다. 공장 가동 후 3년 혹은 사업 초기 5년간은 이익 실현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를 뛰어넘을 수 있는 인센티브 부여가 필요하다. 이후에도 기대수익이 확대되도록 매력적인 세제 혜택을 제안해야 한다.
또한 자녀의 교육에도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특목고 입학 인센티브 부여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