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점찍은 李 "문화수출 50조 시대로"
입력
수정
지면A6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18일 “2030년까지 문화 시장 규모 300조원, 수출 50조원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인공지능(AI), 방위산업에 이어 문화산업을 세 번째 육성 분야로 제시하며 관련 예산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이날 자신의 SNS에 “K푸드, K뷰티, K팝, K드라마, K웹툰의 세계 시장 진출을 전폭 지원하겠다”며 “K컬처 플랫폼을 육성해 콘텐츠 제작부터 글로벌 시장 진출, 콘텐츠 유통까지 전 단계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썼다. 이어 “영상 제작에 필요한 버추얼 스튜디오 등 공공 제작 인프라를 적극 확충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또 “올해 국가 총지출의 1.33%에 불과한 문화 재정을 대폭 늘리겠다”며 “문화예술 연구개발(R&D), 정책 금융, 세제 혜택 등 전방위로 인센티브를 확대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영상 콘텐츠에 적용되는 세제 혜택을 웹툰으로 확대하는 등 웹툰산업을 K컬처의 핵심 축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이 후보는 이날 대구 대현동의 협동조합 ‘소이랩’을 찾아 웹툰 관계자들과 ‘콘텐츠 산업 정책 간담회’를 열었다. 토론회에서는 “해외 불법 사이트로 K웹툰이 무료 유통돼 피해가 크다”는 성토가 주를 이뤘다. 이에 이 후보는 “돈을 벌기 위해 불법행위를 하는 건 징벌적 배상을 해야 한다”고 했다.
김형규 기자 khk@www5s.shop
이 후보는 이날 자신의 SNS에 “K푸드, K뷰티, K팝, K드라마, K웹툰의 세계 시장 진출을 전폭 지원하겠다”며 “K컬처 플랫폼을 육성해 콘텐츠 제작부터 글로벌 시장 진출, 콘텐츠 유통까지 전 단계를 체계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썼다. 이어 “영상 제작에 필요한 버추얼 스튜디오 등 공공 제작 인프라를 적극 확충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또 “올해 국가 총지출의 1.33%에 불과한 문화 재정을 대폭 늘리겠다”며 “문화예술 연구개발(R&D), 정책 금융, 세제 혜택 등 전방위로 인센티브를 확대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는 영상 콘텐츠에 적용되는 세제 혜택을 웹툰으로 확대하는 등 웹툰산업을 K컬처의 핵심 축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이 후보는 이날 대구 대현동의 협동조합 ‘소이랩’을 찾아 웹툰 관계자들과 ‘콘텐츠 산업 정책 간담회’를 열었다. 토론회에서는 “해외 불법 사이트로 K웹툰이 무료 유통돼 피해가 크다”는 성토가 주를 이뤘다. 이에 이 후보는 “돈을 벌기 위해 불법행위를 하는 건 징벌적 배상을 해야 한다”고 했다.
김형규 기자 khk@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