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 개선됐다더니"…챗GPT 새 모델, 환각률 2배 이상 늘어
입력
수정
o3·o4-미니, 환각률 각각 33%, 48%
전작 o1·o3-미니 각각 16%, 14.8%
환각 반응 2배 이상 늘어나
20일 미국 IT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오픈AI는 자체 벤치마크 테스트인 퍼슨 QA에서 o3와 o4-미니 모델이 각각 33%와 48%의 환각 반응률을 보인 것을 확인했다.
반면 이전 추론 모델인 o1과 o3-미니 모델의 환각 반응률은 각각 16%와 14.8%이다. 전작에 비해 신작 모델들의 환각 반응이 거의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심지어 비추론 모델인 GPT-4o 보다도 o3, o4-미니의 환각이 더 자주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오픈AI는 16일(현지시간) "역대 가장 뛰어난 추론 모델이자 챗GPT의 마지막 독립형 AI 추론 모델이 될 것"이라고 홍보하며 o3·o4-미니 모델을 공개했다. 두 모델은 수학·코딩·과학 분야 테스트에서 기존 모델 대비 우수한 성능을 낸 건 사실이다.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해석하는 대학 수준 문제에 o3는 82.9%, o4-미니는 81.6%의 정답률을 기록하며 고성능을 뽐냈다.
다만 성능 개선에도 불구하고 환각률이 높다면 결과물을 신뢰하기 어렵다. 비영리 AI연구소 '트랜슬루스'는 o3가 답변 도출 과정에서 수행 작업을 조작한 경향이 있다는 증거도 있다고 지적했다. 사라 슈웨트만 트랜슬루스 공동창립자는 테크크런치에 "o3는 환각률 때문에 다른 버전보다 유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
다만 오픈AI 측은 o3와 o4-미니의 높은 환각률의 명확한 원인과 대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오픈AI는 기술 보고서를 통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