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철 골칫거리' 폐현수막 처리 새판 짜는 서울시
입력
수정
지면A24
전국 최초 전용 집하장 설치
폐기·소각 위주 처리서 벗어나
수거·재활용 통합관리로 개편
고형연료 등 자원순환 '시동'
선거철마다 반복되는 폐현수막 처리를 놓고 골머리를 앓던 서울시가 전면적인 제도 개선에 나섰다. 전국 최초로 전용 집하장을 설치해 현수막 수거부터 재활용까지 일원화된 체계를 갖추겠다는 것이다.
시는 이를 위해 성동구 용답동 중랑물재생센터 내부에 폐현수막 전용 집하장을 설치하고 본격적인 가동 준비에 돌입했다. 이곳에서 수용할 수 있는 현수막 물량은 최대 10t 정도다. 서울시 관계자는 “용산구와 광진구를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전체 자치구로 확대해 폐현수막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자치구별로 현수막을 자체 수거·소각했으나 이번 집하장 설치로 통합 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서울 전역에서 발생하는 폐현수막을 한곳에 집결시켜 정확한 배출량을 파악하고, 재활용 효율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표준화된 처리 기준을 마련해 다른 지방자치단체로 확산할 수 있는 모델을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폐현수막은 대표적인 ‘일회용 폐기물’로 꼽힌다. 생활 폐기물에 속하지만, 낮은 단가로 빠르게 제작하려다 보니 재활용이 어려운 소재나 잉크를 사용하는 사례가 많았다. 도심 곳곳을 뒤덮은 폐현수막이 대부분 수거 후 소각되는 이유다. 기후변화행동연구와 녹색연합에 따르면 가로 3m, 세로 3.3m 크기의 폐현수막 한 장을 제작·폐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4㎏(이산화탄소 환산량)에 달한다. 지난해 폐현수막에서 발생한 온실가스만 최소 1만9634t으로 추산된다.
그럼에도 정부 차원의 처리 및 배출 가이드라인조차 없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엉성한 지자체 통계를 바탕으로 한 폐현수막 처리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지난해 규모가 비슷한 서울 자치구 두 곳의 폐현수막 배출량이 각각 1t과 20t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자치구의 담당 공무원조차 “비현실적인 통계”라며 오류 가능성을 인정했다.
시는 단순 소각 중심의 폐현수막 처리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해 집하장 내 재사용·새활용·재활용 등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섬유를 파쇄한 후 고형연료(SRF)로 만드는 ‘펠릿’ 생산도 유력한 대안으로 꼽힌다.
오유림 기자 our@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