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언론 만난 한덕수 "미군 주둔 절대적으로 중요"…출마는 함구
입력
수정
28일 국무총리실은 한 권한대행이 지난 27일(현지시간) 공개된 이코노미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발언했다고 설명했다. 인터뷰는 지난 22일 서울에서 진행됐다.
한 권한대행은 미국이 우리나라를 상대로 책정한 25%의 상호 관세에 대해 "충격 요법(Shock Therapy)"이라고 평가하고, 자동차와 철강 부분 관세에 대해서는 "매우 고통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한 대행은 한미 협상에서 다뤄질 '비관세 장벽' 문제와 관련, "개선이 가능한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러한 비관세 장벽의 예로 고정밀 지도 데이터의 해외 반출이나 자동차 안전기준, 농산물 위생 기준, 의약품 가격 체계, 기술 기업에 대한 제약 등을 꼽았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대응 전략에 대해 "미국산 제품을 더 사거나, 미국에 대한 투자 확대 등을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한 권한대행은 "알래스카에 1300㎞의 가스 파이프라인과 액화 플랜트를 건설해 아시아로 수출하는 프로젝트가 있다"며 "한국과 일본 기업이 참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또 미국이 한국 측에 요구하는 조선 협력에 대해서는 "미국의 조선 산업 법체계가 바뀌어야 한다"고 답했다. 미국 조선업이 비효율적인 이유 중 하나는 과도하게 보호받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이코노미스트의 지적이다.
다만, 한 권한대행이 미국과 협상을 낙관적으로만 전망하는 것은 아니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설명했다. 특히 이코노미스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주한미군 철수로 위협했던 점을 거론하며, 실제로 이뤄질 경우 한국이 북한의 위협에 더욱 취약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한 권한대행은 "미군의 주둔은 우리에게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며 "한국은 어떤 문제든 ‘비충돌적인 방식(a rather non-conflicting way)’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는 한 대행의 대선 출마 가능성과 관련, '일부 보수층에서는 한 대행의 출마를 바라고 있으나 그는 이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다'며 '당장은 미국과의 재앙을 피하는 일이 급선무'라고 전했다.
한편, 이코노미스트는 '더불어민주당이 '한 대행이 단지 대통령 권한대행에 불과함에도 무역 협상을 시작하는 것은 월권'이라고 비판한다'며 '허울 좋은 비난(specious accusation)으로 흔들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후보가 오는 6월 대선에서 당선되더라도, 관세 완화와 안보 보장의 지속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추구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강진규 기자 josep@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