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 닫는 미국 중산층…맥도날드 매출도 줄어
입력
수정
지면A10
소비·고용 위축…경기 '빨간불'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 여파가 소비재 기업으로 확산하고 있다. 물가를 의식한 중산층과 저소득층이 지갑을 닫으면서 ‘서민 먹거리’인 햄버거와 초콜릿 등의 판매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고용 위축도 이어져 소비 심리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맥도날드, 팬데믹 후 최악 실적
이 같은 고객 이탈은 외식업계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경기 향방을 가늠하기 힘든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지출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아침 식사를 거르거나, 집에서 음식을 만들어 먹는 등 대안을 찾는 사람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피자 체인 피자헛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 줄었고, 멕시코 음식 체인 치폴레도 2020년 이후 처음으로 매출이 떨어졌다고 최근 발표했다. 스타벅스 매출도 다섯 분기 연속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글로벌 제과업체 허쉬는 껌, 사탕 등의 제품이 포함된 제과부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 급감했다고 이날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관세 조치가 금융시장을 뒤흔들면서 미국인들의 고용 전망에 대한 불안이 커져 소비 심리가 급격히 악화했다”고 진단했다.
기업 실적이 회복하려면 경제 지표와 소비 심리 개선이 동반돼야 한다. 하지만 미국 경제는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가 전기 대비 연율 -0.3%를 기록하며 역성장했다. 블룸버그 통신이 집계한 경제학자들의 4월 비농업부문 고용 증가 건수 추정치는 13만8000건으로 전월(22만8000건 증가)보다 크게 둔화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경제학자들은 5월부터 노동 시장이 뚜렷하게 약화될 수 있다고 내다보며 물류·운송업, 레저·접객업 분야에서 고용 둔화가 심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