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시골서도 타는데 한국은 왜…테슬라 차주들 '부글부글' [백수전의 '테슬람이 간다']
입력
수정
테슬라 '모델Y 주니퍼' 내러티브 시승기
(2) 국내 완전자율주행(FSD)은 언제쯤
이틀간 서울 강남~자유로~임진각 250㎞ 달려
승차감 편해지고 방음 개선… 패밀리카로 추천
롱레인지 트림은 제로백 4.6초, 고성능차 뺨쳐
오토파일럿 훌륭하지만, 지난 1년간 성능 정체
FSD는 북미·中서만 서비스… 한국 감감무소식
"전기차 자율주행 발전 없다면 中 추격은 요원"
모델Y는 테슬라의 간판 모델로 2023~2024년 2년 연속 글로벌 차량 판매량 1위를 달성했지요. 5년 만의 페이스리프트에 소비자들의 관심이 큽니다. 출시 가격은 △후륜구동(RWD) 5299만원 △사륜구동 롱레인지 6314만원입니다. RWD 트림 기준 국고 보조금 188만원에 지자체 보조금을 더하면 실구매가는 4800만~5000만원 수준입니다.
<테슬람이 간다>는 새 모델Y 시승을 이틀간 진행했습니다(5월 1일자 「‘모델Y 주니퍼’ 내러티브 시승기 1편 참조). 시승차는 연초 테슬라가 한정판으로 내놓은 ‘런치(Launch) 시리즈’입니다. 롱레인지 트림에 20인치 휠 등 약간의 옵션이 추가된 상품입니다. 이번 주는 주니퍼의 주행 성능 및 자율주행 기능을 집중 분석합니다. 서울 역삼~파주 임진각까지 총 250㎞를 달렸습니다.
승차감·방음 모두 업그레이드
주행 중 가장 먼저 달라졌다고 느낀 건 회생제동입니다. 전기차는 보통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면 저절로 감속됩니다. 처음 전기차를 접한 이들은 이 기능에 불편감을 느끼는 경우가 적지 않았지요. 대신 회생제동에 익숙해지면 브레이크를 밟는 횟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습니다. 운전 피로도가 감소하고 브레이크 패드 등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새 모델Y는 회생제동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현대차 아이오닉5와 비슷하거나 좀 더 억제한 수준입니다. 과거 테슬라 차량은 회생제동 단계를 조절할 수 있었지만, 모델Y 2023년형부터 빠졌지요. 주니퍼에선 이를 부활시켰습니다. 테슬라가 전기차만의 특색을 벗고 대중적으로 접근하려는 노력이 엿보입니다.
하지만 모델Y는 엄연한 SUV입니다. 고급 세단 수준의 승차감을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특히 뒷좌석은 안락함과 거리가 있습니다. 모델Y RWD를 1년간 운행 중인 40대 A씨는 “이전 차량인 BMW 530i와 비교하면 승차감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라며 “도로 방지턱을 넘을 때 차이가 크게 난다”고 전했습니다. 기자는 과거 에어서스펜션이 장착된 대형 SUV 모델X도 시승해봤지만, 승차감이 제네시스급은 아니라는 결론을 내린 바 있습니다.
방음 처리가 돋보입니다. 전기차 특유의 ‘슝~’하는 모터음 유입이 거의 사라졌습니다. 전기차가 엔진음이 없다 보니, 주행 중 의외로 잡소리가 거슬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내에 유입되는 풍절음도 잘 억제했습니다. 시속 100㎞ 수준에선 조용했고, 시속 120㎞ 이상을 밟아야 풍절음이 들립니다. 주니퍼가 확실히 업그레이드된 모델이란 생각이 듭니다.
제로백 4.8초, 패밀리카론 차고 넘쳐
새 모델Y는 어느새 반포대교를 건너 강변북로에 오릅니다. 상암을 지나쳐 자유로에 들어서자 차량 흐름이 쾌적해졌습니다. 가속 페달을 깊숙이 밟아봅니다. 주니퍼는 즉각 도로를 치고 나갑니다. 속도계 숫자가 무섭게 치솟았습니다. 내연기관차에서 급가속하면 느껴지는 기어 변경 딜레이나 터보랙(터보엔진 차량 가속 시 딜레이)도 없습니다. 전기차니까요.공차중량 2t에 육박하는(1920kg) 이 SUV의 제로백(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에 이르는 시간)은 4.8초. 웬만한 고성능 내연기관차를 뺨칩니다. 비슷한 크기와 무게의 BMW X3 M50(제로백 4.6초)과 비슷한 성능입니다. 가격만 놓고 보면 새 모델Y 롱레인지가 4000만원가량 저렴합니다. 이 정도면 패밀리카론 발군의 성능입니다.
다만 승차감을 끌어올리면서 기존 대비 핸들링을 다소 희생시킨 느낌입니다. 테슬라 특유의 짱짱한 주행 질감을 몇 스푼 덜어냈다고 할까요. (테슬라는 2003년 출범 이래로 ‘달리는 차’가 모토였습니다. 초창기 타깃은 BMW였지요) 차가 무겁다 보니 빠른 제로백 대비 체감속도가 다소 떨어집니다. SUV의 한계이겠지요. 달리는 맛을 제대로 즐기려면 더 가볍고 체구가 작은 모델3가 적합하겠다는 생각이 스칩니다.
오토파일럿 훌륭하지만 ‘성능 정체’
마지막으로 자율주행 기능을 점검합니다. 새 모델Y는 테슬라가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컴퓨터 AI4(구 하드웨어 4.0)가 탑재됐습니다. 시승차엔 904만원짜리 FSD(Full-Self Driving) 옵션이 적용됐습니다. 사람이 운전을 책임지는 레벨2 수준의 자율주행 지원 소프트웨어입니다. 아직 V12 버전입니다. 북미에선 작년 말부터 V13이 적용됐지요. 시작부터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국내 FSD는 주행 보조 기능인 △내비게이트 온 오토파일럿(NOA)과 △자동차선 변경 △자동 주차 △차량호출 등의 기능을 쓸 수 있습니다. △교통신호등 감지 △시내 자율주행은 현재 북미와 중국에서만 서비스됩니다. 정리하면 테슬라의 국내 자율주행 지원 기능은 고속화도로에서만 쓸 수 있습니다. ‘반쪽 FSD’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지요. 전문가들은 기본 오토파일럿을 쓰거나 국내 FSD와 기능상 차이가 없고 저렴한 ‘향상된 오토파일럿(EAP)’ 옵션(452만원)을 추천합니다.
주니퍼는 스스로 주행을 시작합니다. 기자는 지난 수년간 테슬라 신차를 시승하고 오토파일럿을 실험해봤습니다. 그때마다 오토파일럿의 운전이 꽤 신뢰할만하다고 느꼈습니다. 막히는 길에선 속도를 줄이고 빈 도로에선 제한 속도만큼 올렸습니다. 이 과정이 제법 부드럽습니다. 곡선 코스를 달려도 쉽게 풀리지 않고 도로를 잘 따라갑니다. 새 모델Y는 중국산 차량으로 자동차선 변경에 운전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테슬라 한국 진출 10년, FSD 언제쯤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 오토파일럿이 주변 차량과 장애물 사람 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횡단보도를 건너거나 앞차가 차선을 삐딱하게 주행하고 있는지도 확인됩니다. 큰 트럭과 작은 오토바이를 구별하고 신호등의 불빛 변화도 인지합니다. 100% 완벽하진 않지만, 운전을 맡기는 데 안심이 되는 건 사실입니다. 운전대를 흔들어보라는 등의 운전자 확인 횟수도 기존 대비 줄었습니다. 대신 내부 카메라로 운전자가 전방 주시를 하는지 확인합니다.작년 12월 테슬라코리아 수장인 서영득 컨트리 매니저는 “테슬라가 단순한 전기차 회사가 아닌 AI 회사란 점을 국내 직원들도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테슬라가 AI 회사임을 입증하는 것 중 하나는 자율주행이겠지요. 한국에서 올해가 그 원년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테슬람이 간다’는
‘모빌리티 & AI 혁명’을 이끄는 혁신기업 테슬라의 뒷이야기를 풀어갑니다. 최고의 ‘비저너리 CEO’로 평가받는 일론 머스크도 큰 탐구 대상입니다. 아래 기자 페이지를 구독하면 빠르게 기사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AI & 로봇 컴퍼니’로 전환하는 테슬라와 투자를 다룬 책 「테슬라 리부트」를 출간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백수전 기자 jerry@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