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는 '원전'…이재명은 '재생에너지'
입력
수정
지면A6
에너지 공약 '대조'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각각 원전과 재생에너지에 초점을 맞춘 에너지 공약을 12일 발표했다. 이 후보 측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공약에 원전 관련 언급을 제외했다.
金, 원전 6기 건설·SMR 상용화
李, 2040년 석탄화력발전 폐쇄
김 후보는 원전 확대 방침을 담은 ‘AI·에너지 3대 강국’ 공약을 10대 공약 중 두 번째로 제시했다. 대형 원전 6기 건설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한국형 소형모듈원전(SMR) 상용화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원자력 발전 비중을 현행 32.5%에서 60%(대형원전 35%·SMR 25%)까지 키우겠다고 밝혔다.
액화천연가스(LNG)와 석탄, 신재생에너지 등은 ㎾h(킬로와트시)당 발전 단가가 120원 이상인데, 원전 단가는 75.7원에 그친다. 이 때문에 원전 비중을 늘리면 산업용 전기료를 인하할 수 있다는 게 김 후보의 설명이다. 김 후보 측은 산업용 전기료를 가정용 전기료 수준으로 내려 기업 부담을 낮추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기후위기 대응과 탈탄소 전환을 강조했다. 204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을 폐쇄하고, 분산형 재생에너지 발전원을 효율적으로 연결·운영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구축하겠다고 공약했다. 탄소중립 산업을 키우겠다고도 했다. 태양광과 풍력, 전기자동차, 배터리, 수전해 등을 예로 들었다. 이 후보는 또 재생에너지 발전 수익을 지역민과 나누는 ‘햇빛연금’ ‘바람연금’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 후보는 원전과 관련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정치권에선 이 후보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기조에서 벗어나 절충형 노선을 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후보는 지난달 25일 민주당 대선 경선 3차 토론회에서 ‘원전 정책에 관한 의견’을 묻는 말에 “일방적 탈원전도, 원전 중심 정책도 어렵기 때문에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고 했다. 이 후보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4대강 재자연화 등도 공약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관련 공약을 제시하지 않았다.
하지은/한재영 기자 hazzys@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