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치즈냥·삼색냥 털 색깔 비밀 풀렸다…日 퇴직 교수, 후원금으로 연구

영어권에서는 'calico cat', 한국에서는 속칭 '삼색이'로 불리는 삼색얼룩털 고양이. /사진=한경DB
오렌지색 내지 옅은 적갈색 털을 가진 고양이 속칭 '치즈냥'과 세 가지 색이 섞인 삼색얼룩털고양이 '삼색이'의 털 색깔에 대한 비밀이 풀렸다.

15일(현지시간) 생명과학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일본과 미국 연구팀의 논문 2편이 나란히 발표됐다.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사사키 히로유키 규슈대 교수가 이끄는 일본 연구팀과 그레고리 바시 스탠퍼드대 교수가 이끄는 미국 연구팀은 고양이의 피부, 모낭, 눈 등의 색깔을 결정하는 멜라닌세포(melanocyte)에서 X 염색체와 연관된 'ARHGAP36'이라는 유전자의 활성화 정도가 매우 크다는 점을 발견했다.

특히, 털 색깔이 오렌지색인 '치즈냥이'들과 그렇지 않은 고양이들을 비교했더니, 치즈냥이들은 이 유전자의 DNA 코드 중에서 특정 부분이 빠져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해당 부분이 빠져 있으면 ARHGAP36 유전자의 활성이 억제되지 않아, 색소가 옅어진다"고 설명했다.

옅은 적갈색 털 색깔은 유전적 메커니즘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라는 점은 수십년간 알려져 있었지만, 정확히 어떤 유전자의 어느 부위가 이 같은 메커니즘에 관여하는지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이 유전자가 X 염색체를 통해 전달된다는 점은 털 색깔이 완전히 옅은 적갈색인 고양이 중 수컷이 많다는 사실과도 부합한다.

수컷은 X염색체와 Y염색체를 하나씩 갖고 있으므로 X염색체 하나에서만 해당 유전자가 활성화되기만 하면 온통 옅은 오렌지색 털을 갖게 된다.

이와 달리 암컷은 Y염색체는 없고 X염색체가 2개이므로 털 색깔이 온통 옅은 오렌지색일 확률이 수컷보다 낮고, 색깔이 섞여 있을 확률이 수컷보다 높다는 것이다.

치즈냥이는 수컷 비율이 월등히 놓고 삼색이는 99%가 암컷인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사사키 교수는 "삼색얼룩고양이의 털 색깔이 오렌지색과 검은색 무늬가 뒤섞이는 이유는 발달 초기 단계에서 각 세포에서 X염색체 하나가 무작위로 비활성화되기 때문"이라면서 "세포분열이 진행되면서 이런 패턴이 생겨난다"고 설명했다.

고양이 애호가인 사사키 교수는 이번 연구를 대학에서 퇴직한 후에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와 연구팀은 일본과 전 세계의 고양이 애호가 수천 명으로부터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연구비 1060만엔(한화 약 1억200만원)을 모금해 연구비로 사용했다.

그는 "고양이 유전자의 정체를 밝혀내는 작업을 통해 고양이 질병의 극복에 기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한편, ARHGAP36 유전자는 뇌와 호르몬 분비샘 등 신체 다른 부위에서도 활성화되며,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간에게서도 이 유전자가 발견되고, 피부암과 탈모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에서의 DNA 변이가 건강 상태와 관련된 다른 신체 부위나 기질에도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사사키 교수는 "반려묘를 키우는 사람 중 많은 이들이 고양이마다 다른 털 색깔과 패턴이 서로 다른 성격과 연관이 있다고 믿는다"면서 "그렇다는 과학적 증거는 아직 없지만 흥미롭고, 내가 더 연구해보고 싶은 아이디어"라고 말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