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혜택 축소안에 들끓는 원전업계…총력 로비전
입력
수정
IRA 기후조항 삭감에 원전도 포함
"美 에너지 주도권 흔들릴 것" 우려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원자력 업계가 세액공제 삭감을 철회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의원 설득에 나섰다. 로비 전문업체 브레이스웰의 프랭크 마이사노 파트너는 "매우 공격적인 로비전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지난 12일 하원 세입위원회 소속 공화당 의원들은 IRA 중 기후 관련 조항을 삭제해 약 65억달러(약 9조원)의 재원을 마련하는 내용의 법안 초안을 공개했다. 이 초안에는 원자력 세액공제를 2029년부터 단계적으로 폐지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업계는 세입위 법안이 인공지능(AI) 산업의 전력 수요 충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소형원전(SMR) 기업 오클로의 제이컵 드윗 최고경영자(CEO)는 "세입위 법안은 미국 원자력 분야의 모멘텀(동력)을 약화시킨다"고 지적했다. 에릭 레빈 공화당 로비스트는 "우리가 전력을 공급하지 못한다면 전 세계 모든 AI 기술은 무용지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자력 업계의 로비 지출은 최근 눈에 띄게 늘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지원하는 오클로는 올해 1분기 로비 예산을 전년 대비 500% 이상 늘려 42만4000달러(약 6억원)를 지출했다.
누스케일파워, 테라파워, 원자력에너지연구소(NEI) 등도 로비 활동을 강화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스리마일 아일랜드 원전 재가동을 추진 중인 콘스텔레이션에너지는 1분기에만 170만달러(약 23억7800만원)를 로비에 투입했다.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수준이다.
임다연 기자 allopen@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