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샤넬, 가격 엄청 올리더니…"그 돈이면 에르메스 산다" 변심에 흔들 [안혜원의 명품의세계]

[안혜원의 명품의세계] 87회

명품시장 위축에 샤넬 이익 '뚝'
가격 인상 정책 유지할까
서울의 한 백화점 샤넬 쇼윈도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스1
한때 국내 백화점 오픈 시간만 되면 매장으로 질주하는 '오픈런' 대란을 빚을 정도로 호황을 누리던 샤넬의 기세가 꺾였다. 샤넬은 지난해 이익이 급감하며 명품시장 둔화 직격탄을 맞았다. 이마저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폭탄' 이전 실적이어서, 올해 실적은 더 나쁠 것으로 전망된다. 천정부지로 값을 올려온 샤넬의 가격 정책에도 변화가 생길지 시장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AFP·블룸버그 통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샤넬은 지난해 매출액이 187억 달러(26조1000억원)로 전년(2023년)보다 4.3%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45억달러(6조3억원)로 무려 30% 줄었다. 순이익은 28% 감소한 34억 달러(4조7000억원)다. 샤넬의 연간 매출과 이익이 동시에 감소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매장 문을 닫았던 2020년 이후 처음이다.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 매출이 92억달러(12조8000억원)로 전년보다 7.1% 줄면서 전체 매출 감소를 이끌었다. 중국 쇼핑객들이 고가 제품 구매가 줄어 명품시장이 둔화하는 상황이다. 가방 등 일부 품목의 가격을 급격히 인상한 게 실적 부진의 배경이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리나 네어 샤넬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어려운 거시경제 환경이 일부 시장의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 샤넬 매장 진열창 모습. 사진=연합뉴스
샤넬은 최근 수년간 지속적으로 가격 인상을 해왔다. HSBC 은행 분석가들에 따르면 샤넬 클래식 플랩백 미디움 사이즈 가격은 2019년 이후 두 배 이상으로 올라 1만유로에 달한다. 이는 명품 평균 가격 상승률(50%)을 훌쩍 웃돈다. '샤테크(샤넬+재테크)'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국내시장에서도 매년 가격이 올라 지난해에도 주요 인기 가방 제품 가격을 평균 6~7% 인상했다. 클래식 플랩백의 경우 미디움은 1450만원에서 1557만원으로 7.38%, 라지는 1570만원에서 1678만원으로 6.88% 올랐다. 클래식 플랩백은 샤넬 제품 중에서도 인기가 높아 국내 시장에선 1인당 1년에 한 점씩만 구매할 수 있다.

샤넬 측은 필립 블롱디오 최고재무책임자(CFO)의 발언을 통해 가격 인상이 매출 감소로 이어진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다만 업계나 소비자들 반응은 정반대다.

한 명품업계 관계자는 “샤넬 가격이 소비자들이 어느정도 수용할 수 있는 임계점에 도달했다고 보인다”며 “2000만원 가까이 줘야 샤넬 백을 살 수 있다면 보다 구매력 있는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해줘야 하는데, 이 섹터에선 하이엔드급 경쟁사 제품이 더욱 시장 장악력이 있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서울 강남에 거주하는 50대 김모 씨(51)도 “이미 중산층 소비자들이 샤넬을 많이 구입해서 샤넬이 이런 이미지로 고소득층 고객을 공략하긴 쉽지 않을 것 같다”며 “주변에서도 이 가격이라면 샤넬 대신 에르메스를 택하겠다는 의견이 많다”고 귀띔했다.

다만 이 같은 수요 감소에도 당장 샤넬이 가격 인하 카드를 고민하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프랑스 본사에선 샤넬백 가격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 물가와 유로화 환율을 기준으로 잡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샤넬은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는 가격 정책을 취해왔다. 실제 국내 시장에선 올해도 추가 인상을 이어가고 있다. 이달엔 주요 주얼리 라인 제품가격을 10%가량 인상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월엔 일명 ‘코코핸들 백’ 등 일부 가방 가격을 평균 2.5% 인상했다.

유로화 환율이 오르는 점도 가격 인상 요인이 된다. 환율 상승에 따른 샤넬의 가격 조화(Harmonization) 정책이 있어서다. 샤넬 본사는 글로벌 가격 조화 정책에 따라 유로화 적용 지역과 타 지역의 가격 격차를 프랑스 현지와 7~10% 격차에 맞춰 지속적으로 가격을 조정해왔다.
서울 시내의 한 백화점 명품관 샤넬 매장에서 시민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뉴스1
드물긴 하지만, 이 같은 원칙에 따라 오히려 가격을 내린 적도 있다. 2015년 3월 샤넬은 유로화 급락으로 유럽 현지와 미국·한국·중국 등 타 지역의 샤넬백 가격 격차가 크게 벌어지자 가격 인하를 단행했다. 한국에서도 샤넬백 가격이 20% 하향 조정됐는데 샤넬이 가격을 내린 매우 이례적인 사례였다. 당시 샤넬 본사는 유럽 가격은 올리고 중국·한국·러시아 등의 가격은 내렸다. 2014년 1500원에 육박했던 유로화 가치가 1200원을 밑돌자 취한 조치였다.

샤넬이 인상에 나선다 해도 한창 명품시장 호황기처럼 한 해에 수차례 올리는 것처럼 가파른 가격 변동 폭을 가져가긴 어려울 것이란 의견도 있다. 지난해 샤넬은 패션 부문 인상폭을 3%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그쳤다. 수요 감소를 반영한 조치라는 분석이 많았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도 샤넬 측은 올해도 물가 상승률 수준에서 가격을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