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하지 않는 목소리' 주목한 칸…이란 반체제 영화감독 황금종려상
입력
수정
지면A30
제78회 칸 국제영화제 폐막
자하르 파나히 감독 블랙코미디
'그저 하나의 사고일 뿐' 최고상
수감·활동금지 처분에도 작품 활동
올해 정치 메시지 담은 영화 강세
日, 총 6편 장편영화 초청 '기염'
韓은 3년째 경쟁 부문 진출 실패
◇칸의 선택 ‘그저 하나의 사고일 뿐’
이날 트로피를 쥔 파나히 감독은 “지금 중요한 건 이란의 자유”라며 “누구도 우리가 어떤 옷을 입어야 하고, 어떤 것은 해선 안 되는지를 지시할 수 없다”고 소감을 밝혔다. 수상 소감에서 짐작할 수 있듯 파나히 감독은 이란 정부가 낙인찍은 대표적인 반체제 예술가 중 한 명이다. 정치개혁 운동에 참여하고 체제 비판적인 작품을 제작했다는 이유로 수감 생활과 가택 구금을 반복했다. 각본을 쓰거나 촬영할 수 없는 예술활동 금지와 출국 금지 처분까지 받은 그는 몰래 영화를 찍어 해외 영화제에 출품하는 식으로 활동을 이어왔다.
이번 영화제에서 월드 프리미어로 상영된 ‘그저 하나의 사고일 뿐’ 역시 파나히 감독의 성향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감옥에서 자신을 괴롭히던 부역자로 추정되는 남성을 끌고 희생자를 찾아다니는 일종의 ‘복수 로드무비’면서도 곳곳에 유머를 섞은 블랙코미디란 점에서다. 지난 20일 상영된 이 영화는 엔딩 크레디트가 오르자 기립박수를 받았다. 영화제 공식 소식지 스크린데일리가 공개한 비평가들의 평점은 3.1점(4점 만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정치·사회 메시지로 물든 칸
올해 칸은 ‘침묵하지 않는 목소리’에 주목했다. 특유의 작가주의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정치·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영화가 대거 초청받은 것. 전쟁, 전염병, 기후 위기, 자연재해 등 갈등과 위기가 일상화된 시대적 흐름을 수용한 결과로, 작품성과 별개로 다분히 논쟁적인 파나히 감독의 작품이 황금종려상을 받은 배경이다.이번 칸 영화제에선 이오시프 스탈린의 대숙청 시기 소련을 배경으로 한 세르게이 로즈니차의 ‘두 검사’, 권력의 어두운 이면을 비판하는 타릭 살레의 ‘공화국의 독수리들’, 1970년대 군사독재 정권의 탄압을 피해 도망친 남성을 그린 클레베르 멘돈사 필류의 ‘시크릿 에이전트’, 젊은 엄마들의 쉼터를 배경으로 한 다르덴 형제의 ‘젊은 어머니들’ 등이 황금종려상을 놓고 다퉜다.
영화인들도 칸 곳곳에서 정치·사회 현안에 목소리를 높였다. 할리우드 원로 배우로 개막식에서 명예 황금종려상을 받은 로버트 드니로가 해외 제작 영화에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밝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속물’이라고 비판한 게 대표적이다. 그는 “예술은 다양성을 포용하기 때문에 독재자와 파시스트에게 위협이 된다”고 말했다.
◇조용한 한국, 약진한 일본
올해 칸 영화제에선 일본 영화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하야카와 지에 감독의 ‘르누아르’가 경쟁 부문에 올라 황금종려상을 놓고 다퉜다. 이시카와 게이의 ‘먼 산줄기의 빛’, 가와무라 겐키 ‘8번 출구’ 등 총 6편의 장편이 초청받았다. 영화계에선 일본 영화가 ‘잃어버린 20년’을 딛고 세대교체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 영화 거장인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최근 내한해 “하마구치 류스케, 하야카와 지에 등 드디어 차세대 영화인이 나오는 고무적인 상황”이라고 말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한국 영화는 3년 연속 칸 경쟁 부문 진출에 실패했다. 올해는 12년 만에 단 한 편의 장편 초청작도 배출하지 못하며 ‘포스트 봉박’(봉준호+박찬욱)의 부재를 실감했다. 다만 전 세계 영화학교 학생들이 제작한 단·중편 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시네파운데이션 부문에서 허가영 감독의 ‘첫여름’이 1등 상을 받으며 칸에 발자국을 남겼다.
한편 이날 시상식에서 8개 경쟁 부문 시상이 이뤄졌다. 황금종려상에 이은 심사위원대상은 노르웨이 감독 요아킴 트리에르의 ‘센티멘털 밸류’가 받았다. 올리비에 라시의 ‘시라트’와 마샤 실린슈키의 ‘사운드 오브 폴링’이 심사위원상을 받았다. 남우주연상은 ‘시크릿 에이전트’의 와그너 모라가, 여우주연상은 ‘리틀 시스터’의 나디아 멜리티가 받았다. 특별상은 비간의 ‘광야시대’가 받았다.
유승목 기자 mok@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