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우승 위해 고용돼"…케냐 마라톤 선수 '승부조작' 실토 [영상]
입력
수정
'승부조작 논란' 中마라톤 케냐 선수
"나 포함 4명 페이스메이커로 계약"
케냐 선수 윌리 응낭가트는 16일(현지시간) BBC 스포츠 아프리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선수 허제가 1시간 2분 33초의 중국 하프 마라톤 신기록을 깨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자신을 포함해 4명의 주자가 계약을 맺은 것"이라고 밝혔다.
응낭가트는 "4명 가운데 한 명은 완주하지 못했으며, 허제도 신기록 달성에 실패했다"고 덧붙였다.
케냐 응낭가트와 로버트 키터, 에티오피아 데제네 비킬라 등 3명은 나란히 허제보다 딱 1초 뒤져 공동 2위를 차지했다.
당시 아프리카 선수들은 결승선을 앞두고 허제를 돌아보고 속도를 늦췄고, 이 가운데 한 선수는 먼저 가라는 듯 허제에게 손짓하기도 해 승부 조작 논란이 일었다.
이에 응낭가트가 "자신들은 선수로 출전한 것이 아니라 '페이스 메이커'였다"는 주장을 펼친 것이다.
그는 "나는 승부를 겨루기 위해 베이징에 간 것이 아니다"라며 "왜 그들(대회 주최 측)이 내 몸에 '페이스메이커'라는 표시 대신 이름과 숫자를 붙였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서는 "친구라서 허제가 우승하게 했다"면서 "그렇게 하라는 지시를 받은 것은 아니고 금전적 보상도 없었다"고 말한 바 있다.
논란의 중심에 선 나머지 선수들은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최근 들어 마라톤은 중국 중산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AFP통신에 따르면 이번 사안을 조사 중인 중국육상협회 측은 "중국 내 마라톤의 폭발적 인기가 문제점을 노출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미국 NBC방송에 따르면 급속한 대중화에 따라 도덕적 해이도 급증해 2018년 선전 하프 마라톤 주최 측은 가짜 배번호를 달거나 지름길로 달리는 등 부정행위를 한 참가자 258명을 적발하기도 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