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와인에 테루아가, 발레엔 땅의 기운 받는 '아 테르'가 있다
입력
수정
[arte] 이단비의 발레의 열두 달“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여름은 포도가 익어가는 계절. 시인 이육사(1904∼1944)가 포도알 안에 독립투사로서의 전설과 꿈을 담은 것처럼, 사람들은 이 뜨거운 계절이 지난 후에 얻을 수확을 기다리며 각자의 열망과 꿈을 담는다. 은유가 아닌 직관적으로 포도가 알차게 영글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와이너리 관계자들일 것이다. 내리쬐는 햇볕 한 줌, 내리는 비 한 방울에 울고 웃는 건 그게 포도, 와인의 맛과 품질을 좌지우지하기 때문이다. 때를 벗어나 비가 내리면 그 해의 와인의 품질과 향미에는 치명적일 수 있다.
특히 지금처럼 포도가 무르익는 여름에는 햇볕을 많이 받아야 한다. 프랑스의 보르도와 부르고뉴, 스페인,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지중해 지역이 와인으로 유명한 건 작열하는 태양 덕분일 것이다. 와인 신생지로 각광받는 아르헨티나, 칠레도 마찬가지다. 이 지역들은 고른 기후변화를 보여주기 때문에 어느 해에 생산되는 와인이든 고른 맛을 보여준다는 장점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한쪽 다리로는 지탱하고 서고, 다른 쪽 다리는 들어서 공중에서 타원을 그리는 ‘롱 드 장브 앙 레르(rond de jambe en l'air)’라고 부른다면, 이 동작에서 들고 있던 다리를 땅바닥으로 내려서 발끝으로 원을 그리면 ‘롱 드 장브 앙 테르(rond de terre)'라고 부른다. 즉, ‘다리로 공중에서 원을 그리는’ 앙 레르 동작이 ‘땅에서 원을 그리는’ 아 테르 동작이 되는 것이다.
보통 아라베스크(arabesque) 동작은 한 다리로 지탱해서 서고, 다른 다리를 들어 앞이 뒤로 곧게 뻗는 것을 가리키지만 이 동작도 아 테르 상태에서 구사할 수 있다. 들고 있는 다리를 바닥으로 내려놓은 경우 아라베스크 아 테르라고 부른다. 아라베스크 아 테르는 작품 속에서 어떤 장면의 준비 혹은 마무리 자세로 쓰일 수 있다. 발레에서 동작을 시작하기 전 취하는 준비자세를 프레파라시옹(préparation)이라고 부르는데 모든 프레파라시옹은 아 테르 동작이다. 땅을 제대로 딛고서야 그다음에 공중에 날아오를 수 있는 것이다. 발레 공연을 보면 주역들이 등장해서 솔로 무대를 선보일 때 아 테르 상태에서 호흡과 몸을 가다듬은 후 화려한 기술과 폭발적인 감정들을 보여주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기후는 자연이 준 요소이지만 그 기후가 변덕을 부리지 않고 온전히 제 성격대로 움직이려면 그것을 유지하고자 하는 인간의 배려가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체형을 타고났더라도 연습과 노력이 없으면 무용지물이고, 공기 속에 날아다니는 춤사위는 땅을 잘 딛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유달리 기후의 변화가 부쩍 느껴지는 2024년의 여름. 좋은 공연 뒤에 풍미 좋은 와인 한 잔을 마시다가 테루아와 테르의 의미를 돌아본다. 테루아와 테르는 근원이다. 근원이 흔들리는 것은 생명이 흔들리는 것이다.
이단비 작가•<발레, 무도에의 권유>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