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움직임을 따라 진화한 300년 스포츠 패션의 서사

[해외 전시 리뷰]

스포츠 웨어의 변천사
파리 의상 박물관 팔레 갈리에라(Palais Galliera)
2025년 2월 8일 ~ 10월 12일

예술과 스포츠의 관계 탐구
패션 온 더 무브 #3 (Fashion on the Move #3)은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18세기부터 현재까지 스포츠 웨어와 신체 움직임 사이의 연관성을 주제로 기획된 전시다. 이번 전시에는 의상 실루엣과 액세서리, 포스터, 사진, 시청각 자료 등 약 20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됐다.

이번 전시는 샤넬 헤리티지, 니스 국립 스포츠 박물관, 카르나발레 파리역사 박물관, 아제딘 알라이아 재단, 에밀 에르메스 컬렉션, 에르메스 헤리티지, 발렌시아가, 카스텔바작, 퓨잡, 르꼬끄 등 여러 패션 & 아카이브 하우스의 컬렉션 대여로 가능하게 되었다.
Rita Scherrer at Saint Moritz, VdeV, 1970 / 사진. © Peter Knapp
스포츠 웨어의 변천사

전시장 입구에는 작년 파리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 성화를 들고 파리 시내 곳곳을 달리던 잔 다르크와 센 강의 여신 세콰나(Sequana)를 모델로 한 미스터리한 기사복이 방문객들을 맞이한다.
2024 파리 올림픽 개막식 라이더 복장. 디자이너 Jeanne Friot와 가죽 장인 Robert Mercier의 협업으로 만들어졌다. / 사진. © Palais Galliera / Paris Musées
전시를 통해 지난 300년의 패션 역사 속에서 수영복, 자전거 라이딩 복장, 오픈된 옛날 자동차를 타기 위한 복장과 액세서리, 테니스, 스키 복장 등 스포츠 의류의 변천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스포츠의 건전한 정신과 어우러지며 신체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위해 스포츠 의류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자전거 복장, 1900년경 / 사진. © PalaisGalliera Parismusees GautierDeblonde
[좌측부터] 산책복(1860), 테니스복(1900-1905), 승마복(1946) / 사진. © Palais Galliera / Paris Musées,
신체 활동과 스포츠의 탄생은 18세기 영국의 야외 여가 활동을 좋아하는 귀족 계급에서 시작되었다. 영국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 사회에서도 처음에는 엘리트층이 스포츠를 즐기게 되었고 점차 대중화되었다. 19세기 프랑스에서는 국민의 건강 향상과 공중 보건을 목표로 스포츠, 야외 활동을 장려했다.

이전에는 양말에만 사용되었던 저지(Jersey) 니트 소재를 1916년 샤넬이 사용하게 되면서 유연한 니트로 구성된 스포츠와 레저에 적합한 스포츠 웨어 컬렉션을 탄생시켰다. 랑방 스포츠, 에르메스 스포츠 등 럭셔리 하우스에서는 스포트 레저 라인을 론칭하였고, 1925년 프랑스 디자이너 장 파투는 테니스 챔피언 쉬잔 랑글렌(Suzanne Lenglen)에게 테니스복을 협찬하기도 했다.
유연한 니트로 제작된 스케이트복 / 사진. © PalaisGalliera Parismusees GautierDeblonde
수영복의 역사

수영복은 운동복 중 팔과 다리 그리고 신체 대부분을 노출하는 가장 획기적인 변천을 겪었다. 18세기부터 해수욕이 건강상 좋다는 이론이 대두되며, 19세기 초부터 해변 휴양지가 탄생했다. 철도의 발달 덕분에 기차역이 인접한 바닷가에 호텔, 카지노,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장소가 생겨났다.

처음에는 남성과 여성이 따로 해수욕해야 했고, 이후 함께 해수욕을 즐길 수 있도록 이에 적합한 의상이 필요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긴 튜닉과 바지로 구성된 수영복에 양모 스타킹과 수영모를 착용했다니, 물에 들어갔다 나오면 양모 스타킹이 물을 흡수하여 늘어지거나 무거워졌을 걸 생각하니 절로 웃음이 나온다.
여자 수영복 겸 체조복(1875) / 사진. © Palais Galliera / Paris Musées
1910년대부터 몸에 더 밀착되고 팔과 다리가 노출되는 원피스(One piece)로 줄무늬와 다양한 색상 디자인 그리고 컬러풀한 고무 캡의 해변 패션이 탄생한다.

루이 레아르(Louis Réard)는 1946년 <수영복 중에 가장 작은 수영복, 비키니!>를 최초로 만들어 상업화 시켰다. 비키니라는 이름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핵폭탄 실험 장소였던 태평양 비키니 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비키니 수영복이 핵폭탄과 같은 충격적인 파급을 가져올 것을 예상해서 지은 이름이다.
1920년대 원피스 수영복, 비키니 &amp; 해변 복장 / 사진. © PalaisGalliera Parismusees GautierDeblonde
겨울 스포츠

이번 전시회는 겨울 스포츠에 가장 큰 섹션을 할애하고 스키, 아이스하키, 스케이트, 썰매 등 스포츠 장비와 함께 스포츠 웨어의 점진적으로 제작 개선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혹독한 유럽의 추위로 겨울 스포츠는 산책과 스케이트에 한정되어 있다가 1920년대부터 상류층 사이에서 스키를 즐기게 되면서 겨울 스포츠 의상이 탄생하게 되었다.
겨울 산책 의상(1870) &amp; 시대에 따라 개선된 스케이트 / 사진. © PalaisGalliera Parismusees GautierDeblonde
스키복 Hermes Sports (1930) / 사진. © PalaisGalliera-Parismusees-GautierDeblonde
수영복이 여름 스포츠 패션 역사의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면 겨울 스포츠의 패션 혁신은 패딩 재킷을 꼽을 수 있다. 특히 바람과 추위를 막아주고 가벼운 신소재의 개발로 양모로 만들어졌던 스키복은 가벼운 미세사와 화려한 색상으로 디자인의 창작 한계를 뛰어넘게 되었다.
[좌] 오리털 패딩 칵테일 드레스, Jean Paul Gaultier, AH 1995-1996 [우] 스키복과 신발, Walter Van Beirendonck, PE-AH 2019-2020, collection &lt;WoW&gt; / 사진 .© Palais Galliera / Paris Musées
스포츠는 단지 인간의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의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다. 특히 여자들이 수영, 자전거, 승마, 테니스 등의 운동을 시작하면서 코르셋과 부피가 큰 드레스는 점차 사라지고 신체를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옷이 등장하게 되어 여성 해방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스포츠는 현대인들의 일상생활에 중요한 패션 트렌드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시작된 운동복, 후드티, 스니커즈는 21세기 들어서면서 현대 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트렌디한 스포츠 웨어 스타일을 유행시켰다. 포스트 팬데믹의 영향으로 신체의 편안함을 더욱더 추구하고 있다. 축구복은 이제 더는 축구를 할 때만 입는 옷이 아니고, 트렌디한 일상복이 된 것이다.
프랑스 국가대표 축구팀 N° 10 Kylian Mbappé, Nike / FIFA World Cup 2018 / 사진. © Palais Galliera / Paris Musées
정연아 패션&라이프스타일 컨설턴트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