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자유로운 건축은 안에서 밖으로 움직인다…DDP 공간구조의 비밀

[arte] 박정민의 열린 공간과 사유들

공간과 건축, 그 인식의 차이
'환유의 풍경' DDP의 형태
우리에게 한 공간에 관해 이야기해 보라고 하면 그곳에서 경험한 것을 말하게 된다. 그 공간에서 보고 들은 것, 번잡함은 소란스러운 정도로 표현되고, 그 안에서 본 풍경은 그 공간을 표현하는 수식 그 자체가 된다 (ex. 뷰맛집). 조금 예민한 축에 속하는 사람이라면 만진 것이나 디딘 것에 대해 말할지도 모른다. '그 커다란 문이 말이야. 살짝 밀었을 뿐인데 쑥 하고 미끄러지더라고’, '그 검은 돌 말이야. 제주도에서나 보던 그거. 그게 입구에 깔려있었는데 꽤 괜찮더라.’ 만약 그곳이 어떤 음식이나 음료를 제공하는 곳이라면 거기에서 맛본 것까지도 그 공간에 대한 기억이 된다. 즉 오감으로 경험한 모든 것이 그 공간에 대한 총체적 이미지가 된다.

하지만 여기서 이 공간이라는 단어를 건축으로 바꾼다면 우리의 뇌는 전혀 다른 이미지를 떠올리게 된다. 그 이미지는 한참을 올라가서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기 시작한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영화의 버드아이뷰가 우리를 세뇌한 것일까? 아니면 드론이 그 시점을 보급화한 것일까? 혹은 우리가 건축을 소유물로서 바라보기 위함일까? 한 가지 확실한 건 공간이라는 단어에서 느끼는 의미와 건축이라는 단어에서 느끼는 의미에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공간은 경험하는 곳이지만 건축은 경험하는 곳이 아니라 축소화된 하나의 이미지다. 그리고 이 이미지가 제시하는 것은 오로지 시각뿐이다. 실질적으로 우리에게 작용하고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내부 공간이지만 특정한 건축을 상징하는 것은 그것의 외양이다.

하나의 건축에 그 도시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로서의 지위를 부여하는 것 또한 내부 공간이 아닌 그 건축물의 외양이다. 하지만 그런 상징물로서의 공간은 실제로 방문했을 때 특수한 경험을 하기가 쉽지 않다. 안이 아닌 밖에서 그것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때 더 가치가 있다. 중세 후기 현대 건축가의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했을 때 어떤 후원자의 지시 사항은 이런 식이었다고 한다. "프랑스 전체에 본보기가 될 만한 탑을 세우시오.” (이 푸 투안 『공간과 장소』(2020)) 한 도시 전체의 본보기가 될 만한 건축을 만들려면 우선 그 도시 전체를 내려다보아야 할 것이다. 책상 위에 펼쳐놓은 종이 위에 그 도시를 투영해 내고 그 가운데에 본보기가 될 만한 아름다운 형태감을 그리기 시작한 것이 그 출발점이었을 테다.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 (Maurits Cornelis Escher)의 석판화 <그리는 손 (Drawing hands)>(1948) / 출처. arthive.com
인간적인 건축이란 무엇일까? 누군가는 형태의 문제라고 할 수도 있다. 또 누군가는 소재의 문제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난 그게 아주 단순한 문제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건 그 출발점이 된 시점의 문제라고, 밖이 아닌 안에서,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시점에서 올려다보며, 아직 존재하지 않는 그 공간 안에서 상상하며 그곳에서 이뤄질 사람들의 움직임들, 들어오고 나가고 머무르고 바라보며 먹고 마시는 모든 인간의 활동들이 안에서 밖으로 뻗어나가며 그 움직임의 발현으로서 형태를 갖춘 공간이 어쩌면 진정으로 인간을 위한 건축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곤 한다. 그래서 때때로 그 형태는 우리가 예측할 수 없는 것이라고, 어쩌면 건축가 스스로도 예상하지 못한 자유로운 형태일 수도 있다고 말이다.
르 꼬르뷔지에 (Le Corbusier)의 석판화 <르 모듈러 (Le Modulor)>(1955) / 이미지. © FLC/ADAGP, 출처. fondationlecorbusier.fr
DDP의 그 형태는 대체 어디에서 나온 걸까?

'미래적인’, 'SF 영화 같은’이라는 표현은 이 DDP의 핵심을 형태로 바라보는 관점이다. 하지만 이곳을 거닐며 서서히 바라보면 또 다른 핵심이 드러난다. 그것은 이 꿈틀거리는 거대한 덩어리를 관통하고 있는 두 개의 구멍이다. 밖으로 돌출된 부분이 아니라 그 안으로 뚫린 부분, 눈에 보이는 형태가 아니라 이 보이지 않는 공간의 형태, 양방향으로 뻗어있는 축음기 같은 모양의 이 보이지 않는 덩어리를 이곳의 핵심으로 바라본다면 조금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게 된다. 출근하는 것이든 아니면 다른 곳으로 가는 것이든 간에 이곳을 통과해 많은 사람들이 이동한다. 어찌 보면 그 미래적인 형태는 이 두 개의 축이 관통하며 뚫어 놓은 커다란 반죽 덩어리가 그 모양 그대로 부풀어 오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 두 개의 구멍이 없었다면 이처럼 많은 움직임을 품어내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이 보이지 않는 덩어리가 있기에 이 공간은 수많은 사람들의 움직임을 품었다가 어느 방향으로든 다시 놓아준다.
지상층 보행로에서 바라본 DDP 외관 / 사진. © 박정민
그중 하나는 먼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사거리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으로 연결된다. 지하철 역사에서 시작된 움직임은 지하층의 어울림광장으로 쏟아져 나오고 그중 일부는 다시 두 개의 널찍한 경사로를 따라 지상층으로 이어진다. 상대적으로 구멍도 작고 그곳에서 일어나는 움직임도 작지만 동대문 패션 거리 앞의 횡단보도에서부터 피아노가 있는 작은 광장으로 연결되는 또 다른 움직임의 축은 건물 뒤편에서 다른 움직임과 합류한다. 거의 모든 방향으로 주변 보행로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사람들의 움직임을 가로막는 팻말이나 경계도 보행로를 위협하는 주차장 진입도로도 없다. 또 그 형태는 어느 방향에서 보든 사람들에게 여기로 들어오라고 품을 열고 있다. (형태를 보았을 때는 입을 열고 있다가 더 정확한 묘사처럼 보이지만 그렇게 표현하는 순간 반대편에서 일어나는 일을 언급하는 것이 꺼려지게 된다.) 이 공간은 안이며 바깥이고, 바깥이며 안이다. 이곳을 걸을 때 사람들은 햇빛, 눈과 비에 보호받지만 외부의 공기와 소음, 바람으로부터는 보호받지 못한다.
[좌측] DDP 어울림광장 계단 [우측] DDP에서 이동하는 사람들 / 사진. © 박정민
이곳을 설계한 자하 하디드는 해체주의 건축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지곤 한다. 또 이런 설명도 붙는다.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해체주의라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난 그녀의 공간에서 해체가 아닌 응집의 에너지를 느끼곤 한다. 그리고 그건 그녀의 이름 뒤에 'Interior’를 붙여 검색했을 때 더욱 그러하다. 개인적으로 자하 하디드는 외부의 형태보다 내부 공간의 시각적 율동성이 핵심인 건축가라고 생각한다. 모든 디자인에서 일관되게 사람들의 움직임, 그 공간에서의 활동들이 시각적 패턴으로 응집되어 있다. 자하 하디드가 2012 런던 올림픽을 위해 설계한 수영장을 보면 천정의 물결 모양의 패턴이 수면 위에 반사되며 사람이 없음에도 이곳에서 이뤄질 움직임이 시각적으로 응집되어 있다.
자하 하디드가 2012 런던 올림픽 때 설계한 런던 아쿠아틱 센터 / 출처. archdaily.com
그리고 거의 모든 공간에서 볼 수 있는 지향점은 연속성이다. 공간 디자인이 연속성을 지향하는 것은 역설이다. 연속성은 인간이 소유하기 이전의 공간, 자연 그대로였던 세상의 본질이다. 우리는 지평선과 수평선을 아름답다고 느끼지만 그 선은 실제 세상 위에 그어진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지각의 한계가 하나의 선으로 수렴된 것일 뿐이다. 공간은 그 연속성의 세상에 경계를 그어 불연속성을 부여하고 소유권을 명시함으로써 공간으로 기능하기 시작했다. 그렇기에 연속성이라는 지향점을 향해 모든 경계와 예각에 지우개를 가져다 댄 공간 디자인은 그 자체가 스스로에 대한 역설이다.
DDP의 갤러리 계단 공간 / 사진. © 박정민
DDP에서 그 역설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공간은 잔디 언덕에서 갤러리 4층으로 들어가면 내려다볼 수 있는 이 계단이다. 이 계단은 사실 비상계단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곳에는 엘리베이터도 있고, 서서히 경사로를 통해 내려가며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둘레길 갤러리도 있기 때문이다. 그저 빠르게 층과 층을 오가는 기능을 해야 하는 이 공간에는 연속성을 위해 적용된 유기적인 곡선의 미학이 극명하게 드러나 있다. 이곳을 오르고 내리다 보면 외부의 형태를 이루는 외장 패널의 수많은 구멍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햇빛, 그 햇빛과 그림자를 받아내는 부드럽게 휘어진 상아색의 난간과 나무 패널이 만들어내는 추상적인 조화를 감상할 수 있다.

상징적인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장소가 지닌 텍스트를 읽어내야 한다. 주로 그 텍스트는 과거의 것이다. 내 생각에 자하 하디드가 이곳에서 읽어낸 것은 과거의 텍스트뿐이 아니라 미래의 텍스트도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테마가 '환유의 풍경(Metonymic Landscape)’이었던 건 아닐까? 그 장소에서 일어난 과거의 기억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속에서 덧없이 사라지고 마는 수많은 움직임을 기억하며 미래를 향한 움직임마저 품어낼 수 있는 공간으로 구상한 것은 아니었을까? 그래서 연속성이라는 역설적인 공간의 언어를 추구한 것은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이 이 공간의 여러 번 돌고 돌며 점점 강해졌다. 그런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이 공간의 자유로운 그 형태는 분명 밖(시각적 아름다움)에서 안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그 안(움직임, 장소가 지닌 미래의 텍스트)에서 밖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DDP 건물 뒤쪽 모든 동선이 합류하는 지점 / 사진. © 박정민
열린 공간이란 무엇일까?

칼럼 제목에 열린 공간이라는 단어를 넣고 나서 잠시 후회했던 순간이 있다. 앞서 말했듯 연속성, 개방성과 같은 성질은 공간의 본질이 아닌 역설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공간만을 찾아서 소개하는 것은 스스로 제한을 걸어버린 것이란 생각이었다.

몇 시간을 이 공간에 머무르며 이렇게 거의 모든 방향으로 사람들이 움직이는 공간이 또 있겠느냐는 생각이 들었다. 국내에 있는 많은 공간이 열려 있는 듯 말하지만 막상 방문해 보면 단절이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 단절은 보행로를 가로막는 주차 공간으로의 진입도로처럼 물리적 단절로도 접근의 제한과 같은 의미적 단절로도 드러났었다.

DDP는 어쩌면 외부에서 그 웅장함을 즐기거나 건축주와 건축가가 함께 헬기에 올라 내려다보기에 훌륭한 형태감은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을 안에서 밖으로 향한 움직임의 발현으로 본다면, 그중에서 가장 깊숙한 안쪽에서 출발하여 입체적인 형태로 발현된 것으로 본다면 그 어떤 랜드마크들보다도 더 강렬한 감정을 선사하는 면이 있다. 그리고 어쩌면 이곳은 한국에서 만날 수 있는 진정으로 열린 공간이다.

박정민 칼럼니스트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