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장중 1470원 돌파…"당분간 원화 약세"
입력
수정
지면A8
다시 불안해진 환율…6거래일 연속 상승
외환당국 개입 1460원대 방어
기관·개인 해외투자로 달러수요↑
尹 탄핵심판 지연 등 불안 고조
"단기적으론 1490원까지 뛸수도"
시장은 윤 대통령 탄핵 선고가 미뤄지는 데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이 원화 가치를 끌어내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민혁 국민은행 연구원은 “현재 시장 분위기상 원화는 아직 국내 정치 이슈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3월 이후 글로벌 약달러 흐름이 나타난 가운데, 정치 불확실성 문제를 겪는 튀르키예 리라화와 한국 원화만 가치가 크게 하락했다”며 “옵션 시장에서도 3월 말 탄핵 선고가 지연되자 환율 상승 베팅을 다시 늘리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1490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날 미국 서비스업 지표 호조에 따른 달러 강세와 외국인 투자자의 주식 매도세도 이날 환율 상승을 초래한 요인으로 분석됐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이날 오후 3시30분 기준 104.330으로 전날보다 0.07% 올랐다.
전문가들은 윤 대통령 탄핵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뒤에도 환율이 빠른 속도로 내려올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통상 정책이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는 데다 국내 기관과 개인투자자의 해외 투자 증가, 잠재성장률 하락 등 구조적 요인도 환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다. 다음달 2일로 예정된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발표가 원화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주요 변수로 거론된다.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 현상도 원화엔 부담이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탄핵 심판 선고 이후 원·달러 환율이 내릴 가능성은 높지만 하락폭은 제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내국인의 해외 투자가 구조적으로 증가하면서 달러 매수 수요가 환율 하단을 뒷받침한다는 설명이다.
우리은행은 원·달러 환율이 2분기 1410원, 3분기 1390원으로 내렸다가 4분기 1430원으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씨티그룹은 탄핵 선고가 이달 말에서 4월 초에 나올 경우 이후 약 3개월간 환율이 1450원대를 유지하다가 점차 1435원 수준까지 내려올 것으로 예측했다. NH투자증권은 1분기 1430원에서 4분기 1360원으로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강진규 기자 josep@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