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단독] 해양 플랜트 '심장'…삼성重, 독자 개발

LNG 액화장비 첫 국산화

플랜트 건조 비용의 35% 차지
핵심 기자재도 '초격차' 시동
삼성중공업이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FLNG)’의 ‘심장’으로 불리는 액화장비(기체인 LNG를 액화하는 장비) 개발에 성공해 이탈리아 에너지 기업과 차기 FLNG 프로젝트에 이 장비를 넣기 위해 최근 첫 미팅을 했다. 액화장비는 기(基)당 2조~4조원에 이르는 FLNG 건조 비용의 35%를 차지하는 핵심 기자재지만 그동안 국산화가 이뤄지지 않아 미국과 유럽산을 써 왔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이탈리아 업체와 앞으로 발주할 FLNG에 자체 개발한 액화장비인 ‘센스포’를 적용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그동안 삼성은 발주처 요구에 따라 FLNG를 건조할 때 미국 하니웰이 제조한 액화장비를 주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이 업체는 검증 결과 삼성 액화장비의 ‘가성비’가 하니웰보다 낫다고 판단해 향후 도입할 FLNG에 센스포를 장착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글로벌 에너지 기업은 안정성 때문에 검증된 미국 장비 위주로 썼지만, 작년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며 “LNG 개발 붐에 따라 FLNG 건조 수요가 늘자 에너지 기업들이 가성비가 좋은 삼성 액화장비로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삼성중공업이 액화장비 수주에 성공하면 명실상부한 ‘FLNG 최강자’가 될 것으로 관측했다. FLNG 시장의 유일한 라이벌인 중국 위슨조선소는 액화장비를 내재화할 기술이 없을 뿐 아니라 미국의 대(對)중국 제재로 신규 수주도 사실상 막혔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핵심 기자재 국산화는 조선업계 숙원 사업”이라며 “한 번 납품이 성사되면 다른 에너지 기업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형규/김우섭 기자 khk@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