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강성범 "구조조정 기업 사모 CB·공모채 발행 적극 지원할 것"

강성범 미래에셋證 IB1부문 대표
“석유화학 업종은 물론 철강, 자동차 기업 등도 구조조정 자금 수요가 상당합니다. 이와 맞물려서 커지는 사모 전환사채(CB), 공모채 시장을 적극 공략할 생각입니다”

강성범 미래에셋증권 IB1부문 대표(사진)는 지난 3월 1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CB 및 공모채 발행, 유상증자 등 기업들의 수요를 전방위적으로 충족할 수 있도록 기업금융(IB) 조직의 내실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작년 미래에셋증권 IB 부문은 대규모 인력 이탈로 어수선한 시기를 보냈다. 최근 출범한 우리투자증권을 비롯해 중소형사가 인력을 집중적으로 빼간 결과다. IB총괄 부사장 등 고위급 임원은 물론 실무진 이탈도 상당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안정을 위해 강 대표를 유임했다. 그는 “사모 시장과 기업 구조조정 관련 투자 등을 전담하는 조직을 신설하는 등 올해에는 조직을 개편할 예정”이라고 했다.

향후 사업 방향은 대기업들의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금 수요 공략으로 정했다. 강 대표는 특히 금융당국의 규제로 기업공개(IPO)와 유상증자 문턱이 높아지면서 코스닥시장 상장사뿐만 아니라, 대기업들도 사모 CB 발행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강 대표는 “유상증자를 ‘악재’로 인식하는 개인 투자자가 많아지면서 최근에는 규모가 있는 기업들도 CB 발행을 선호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대신 채권발행(DCM)에선 공모가 대세를 이룰 것이라고 강 대표는 내다봤다. 최근 예금 금리가 연 2%대로 떨어지면서 금리 매력이 높은 회사채 시장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IPO 시장에선 기업 실적에 대한 투자자들의 눈높이가 올라갔다고 분석했다. 강 대표는 “과거에는 미래 수익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장이 이뤄졌지만, 이제는 최근 실적을 엄격하게 보는 투자자들이 많아졌다”고 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상반기 DN솔루션즈, 달바글로벌 등의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강 대표는 “비상계엄 여파로 외국 투자자들의 참여가 저조했지만, 외생변수에 따른 불확실성은 마무리되는 시점에 도달했다고 본다”고 했다.

미래에셋증권은 해외 사업을 더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미래에셋증권의 해외법인 자기자본도 4조원을 넘어섰고, 인도 증권사 쉐어칸 인수도 완료했다.

강 대표는 “국내 시장만 쳐다보면 되는 시기는 끝났다고 본다”며 “현지 IB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한종/최석철 기자 onebell@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