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윤희숙이 쏘아올린 '계엄 반성'…후보들도 '공감'

"계엄은 정치의 고름" 연설 파문
국힘, 탄핵의 강 건너나

지도부 "깊은 책임 통감한다"
탄핵 언급 금기시하던 의원들
尹과 거리두기 본격화 나서

김문수 "간절한 변화의 외침"
안철수 "온전히 따르겠다" 지지
“권력에 줄서는 정치가 계엄과 같은 처참한 결과를 낳았다.”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윤희숙 원장(사진)의 당 정강·정책 연설 이후 당내 파장이 커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후에도 ‘윤심’과 모호한 거리를 유지해 온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이어졌다. 당 지도부는 “깊은 책임을 통감한다”고 했고, 대선 경선 후보들도 취지에 공감한다는 입장을 냈다. 6·3 조기 대선이 가까워지면서 보수가 ‘탄핵의 강’을 건너기 위한 첫발을 뗐다는 평가가 나온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5일 원내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윤 원장 연설의) 전반적인 취지에 동의한다”며 “이 사태에 도달한 데 대해 지도부 일원으로서 깊은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연설 내용을 사전에 보고받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취지에 공감한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윤 원장은 전날 연설에서 “계엄은 우리 정치의 고름이 터진 결과”라며 “국민의힘은 지금 깊이 뉘우치고 있고 국민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했다.

통렬한 반성문에 지도부가 힘을 실어준 건 현실을 자각하고 냉철한 판단을 하기 시작한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당의 잘못을 제대로 사과하고 윤 전 대통령과 거리를 두지 않으면 대선 승리는 더 요원해질 것이라는 판단이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탄핵 인용 전까지는 당과 정부의 잘못보다는 더불어민주당 횡포를 지적하는 데 힘을 쏟아야 한다는 게 주된 시각이었다”며 “지지층 민심 때문에 차마 못 하던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대선 경선 후보들도 윤 원장의 연설에 동의했다. 김문수 후보는 “어떤 분들은 좋다고, 또 안 좋다고 할 수도 있다”면서도 “발버둥 치지 않으면 우리가 나라에 죄를 짓고 국민에게 죄를 짓는 것이란 절박함을 담은 간절한 목소리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우리 당은 변화해야 한다. 살아야 하고 또 대한민국을 책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철수 후보는 전날 페이스북에 “모든 말씀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온전히 따르겠다”고 적었다. 그는 개헌을 위한 (차기) 대통령 임기 3년으로 단축, 대통령 선출 직후 탈당 등 윤 원장의 제안도 모두 이행하겠다고 약속했다.

보수층 전체가 ‘탄핵의 강’을 건너기 위한 움직임을 시작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2021년 6월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를 앞두고 열린 TK(대구·경북) 합동 연설에서 이준석 당시 후보는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은 정당했다. 탄핵의 강을 건너야 한다”고 했다. 누구도 입 밖으로 꺼내지 못하던 ‘폭탄 발언’이었다. 이 후보는 연설 이후 TK 지지율이 크게 오르며 당 대표로 선출됐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준석을 최연소 당 대표로 만들었던 보수의 전략적 선택이 다시 작용하고 있다”며 “대선이 다가올수록 이런 흐름은 더 강화될 것”이라고 했다.

윤 원장은 이날 MBC를 통해 방영된 두 번째 정강·정책 연설에서 “‘기적의 나라’로 불린 대한민국이 지금 가라앉고 있다”고 했다. 그는 “한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 가장 절박한 돌파구는 정치세력이 강성 귀족노조를 ‘정치돌격병’으로 이용하고 그들이 원하는 걸 지켜주며 경제를 망치는 망국적 결탁을 끊어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소람/하지은/정상원 기자 ram@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