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외고산 옹기마을 일원에서 2025년 울산옹기축제가 열린 가운데 김두겸 울산시장, 이순걸 울주군수, 최길영 울주군의장, 천창수 울산시교육감, 서종태 울주외고산옹기협회장이 옹기서명식, 가마 점화식, 개막 퍼포먼스를 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울주군 제공 전국 최대 옹기 집산지인 울산 울주군 외고산 옹기마을에서 열린 2025 울산옹기축제가 5일 막을 내렸다.
행사기간 사흘동안 16만명이 몰려 울산 대표 축제로서 위상을 높였다. 어린이날과 부처님 오신 날 등 연휴와 겹치면서 가족 단위 방문객이 많았다.
올해 축제는 개막 전부터 기발한 온라인 홍보 콘텐츠로 큰 화제를 모았다.
‘울주군 항아리맨’, ‘옹기축제 서우’, ‘옹기축제 이준기’ 등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유쾌한 반응을 일으키며 세대와 지역을 넘은 관심을 끌었다. 이러한 이색 마케팅은 많은 이들의 발걸음을 축제장으로 이끌었다.
'웰컴투 옹기마을'이라는 슬로건 아래 사흘간 열린 축제는 첫날인 3일 주요 내빈과 축제 캐릭터 옹이, 지역주민과 예술단체가 함께한 퍼레이드 '옹기로 길놀이'로 개막을 알렸다.
이어진 배영화 옹기장인의 시를 주제로 제작한 주제공연 '혼불'은 옹기장인의 혼과 정체성을 웅장한 무대예술로 풀어내 관람객들에게 감동을 전했다.
또 옹기장인의 옹기에 순창 고추장 명인이 직접 담근 장을 담아낸 옹기와 부산과학기술대학교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디자인 옹기 등은 전통과 현대, 장인정신과 창의성이 만난 새로운 옹기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옹기 특별체험관, 주민 체험부스 운영 등 체험 중심 프로그램도 풍성했다.
특히 올해는 5월 가정의 달이자 어린이날 연휴와 겹치며,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단위 관람객이 많이 찾았다.
아이들을 위한 전통 옹기 만들기, 놀이 공간, 먹거리 장터 등은 가족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콘텐츠로 꾸며져 만족도를 높였다.
또 올해 축제는 주민주도형 축제를 완성하는 데 한 걸음 더 나아간 해로 평가받았다.
김두겸 울산시장이 옹기에 '그래! 역시 울산"이란 글을 새기고 있다. 울주군 제공 지난해부터 주민 중심으로 만든어 운영한 주민기획단 '옹해야'와 함께 축제의 주요 콘텐츠를 기획했으며, 이에 따라 체험, 전시, 홍보 프로그램 등 다방면에서 주민이 주체가 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축제 마지막 날에는 울주군 12개 읍면 주민자치공연단이 풍물놀이, 밴드, 무용, 라인댄스 등 지역의 전통과 끼를 담은 공연을 펼쳤다.
축제를 주최·주관한 울주문화재단의 이춘근 대표이사는 "올해 옹기축제는 전통문화와 현대적 감각, 주민 참여와 대중예술이 조화를 이룬 성공적인 축제였다"며 "앞으로도 울산 유일 문화관광축제로 명성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