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장 드론 시장…韓은 방어체계 시험도 못해
입력
수정
지면A1
규제에 막힌 K드론
'안티드론' 시장 2032년 17억弗
시제품 국내 시험장 한곳도 없어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가장 보편적인 안티드론 방식인 전파방해(재밍)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소는 국내에 세 곳이다. 이 가운데 경남 고성, 충북 청주의 드론비행시험센터는 실내 시설이어서 안티드론을 야외에서 제대로 시연할 수 있는 곳은 경북 의성 드론비행센터뿐이다. 이마저 과기정통부에서 제조 인가를 받은 제품만 시험할 수 있다. 시험 수요가 많은 제품 개발이나 시제품 단계에서는 의성 센터를 이용할 수 없다는 얘기다.
각종 규제로 한국 안티드론 기술이 제자리걸음 하는 사이 세계 시장은 급속도로 커졌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프레시던스리서치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드론 수요가 증가하며 지난해 2억3100만달러(약 3226억원)인 세계 안티드론 시장이 2032년 17억1900만달러로 6.4배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이미 한반도 전체를 공격 범위로 삼는 대형 무인기부터 초소형 무인기까지 갖췄다”며 “하루빨리 효과적인 드론 방어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성=원종환/이현일 기자 won0403@www5s.s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