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20세기 발레의 전설…그리고로비치 별세

국립발레단에서 지도
韓 무용 도약 이끌어
20세기 발레의 전설, 러시아 안무가 유리 니콜라예비치 그리고로비치가 19일(현지시간) 타계했다. 향년 98세. 그가 예술감독을 지낸 볼쇼이 극장은 “20세기 후반 발레계의 핵심 인물인 그리고로비치가 별세했다”며 “그의 기억을 소중히 간직하고 그의 귀중한 유산을 지켜나가겠다”고 했다. 그의 커리어가 시작된 마린스키 극장 역시 “한 시대가 막을 내렸다”며 애도의 뜻을 전했다.

그리고로비치는 1927년 레닌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상트페테르부르크 발레학교를 졸업한 뒤 키로프 발레단(현 마린스키 발레단)의 솔리스트로 입단했다. 이곳에서 1957년 첫 안무작인 ‘석화’를 발표하며 새로운 천재의 등장이라는 호평을 받았다. 1961년 두 번째 작품인 ‘사랑의 전설’로 큰 성공을 거두고 1962년 마린스키 극장의 발레 마스터가 됐다. 1964년 볼쇼이 발레단 예술감독으로 발탁돼 1995년까지 31년 동안 재직했다. 황실 발레단으로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던 마린스키 발레단과 시작점이 달랐던 볼쇼이 발레단은 이 기간 융성기를 맞이한다.

그가 재직할 당시 볼쇼이 발레단에는 세계적 수준의 무용가가 몰려들었고 90회가 넘는 순회공연을 통해 높은 인지도와 명성을 누렸다. 1995년 무용수 계약 문제를 둘러싼 극장 경영진과의 갈등 끝에 사임했는데, 이는 볼쇼이 극장 200년 역사상 최초의 무용수 파업으로 이어질 정도로 그는 단원들의 존경을 받았다. 2008년 볼쇼이 발레단으로 복귀해 안무가이자 발레마스터로 다시 활동했다.

그는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 국립발레단과 교류하며 20여 년간 한국 발레의 도약을 이끌었다. ‘라 바야데르’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 인형’ 등 여러 작품을 직접 지도하며 국립발레단 무대에 올렸고 ‘스파르타쿠스’ 공연으로 무용 스타들을 대거 배출해냈다.

휴머니즘과 재치, 사실적으로 다뤄지는 비극 등이 그리고로비치 안무의 특징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13년까지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로 무대에 선 김주원은 “그리고로비치 선생님이 ‘발레는 젊음의 예술이다. 한정적인 시간에 마음껏 즐기라’는 말을 자주 하셨다”고 했다.

이해원 기자 umi@www5s.shop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