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시티카지노

백남준부터 김환기, 이우환까지…거장들이 눌러 쓴 “이만, 총총”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이만, 총총: 미술인의 편지’
오는 26일부터 8월 8일까지
백남준이 오광수에게 보낸 친필편지_뉴욕단상_공간_19688월호. /사진제공=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막크레이씨(氏)한테서 항상(恒常) 귀지(貴紙)의 훌륭한 모습을 엿보고 든든히 생각(生覺)해오던 차(次) 청고(請稿)받으니 고맙습니다. 단(但), 제가 제 얘기 쓰기란 쑥스러워 동봉(同封)한 것과 여(如)히 됐으니 용서해 주십시요. 소생(小生)의 근황(近況)에 대(對)해서는 신문 부스럭지에 자세하니 필요(必要)하시면 초택(抄擇)하시사. 총총. 실례(失禮) 백남준(白南俊).’

지금이야 ‘비디오 아트계의 조지 워싱턴’으로 불리지만, 57년 전 고국에서 그를 알아주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이 시절 백남준은 그저 일본 도쿄와 독일 뮌헨을 거쳐 미국 뉴욕에서 예술을 찾아 헤매는 이방인이었다. 누구나 금의환향을 꿈꿨을 그 시절, 고향에서 자신을 찾는다는 소식이 얼마나 기뻤을까. 이런 백남준의 심정은 그가 1968년 월간 <공간> 8월호에 실린 친필 원고 ‘뉴욕 단상’과 함께 동봉한 이 짧은 악필 편지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인간’ 백남준을 알아가는 퍼즐 조각이 꼭 예술작품에만 있지는 않은 셈이다.

스마트폰 메시지로 몇 초 만에 감정을 전할 수 있는 시대다. 하지만 불과 몇십 년 전만 해도, 예술가들은 수신인 하나를 위해 편지를 쓰고, 마음을 눌러 담고, 붓끝에 침묵을 얹었다. 서울 홍지동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오는 26일부터 열리는 기획전 ‘이만, 총총: 미술인의 편지’는 한국 현대미술의 열기가 들끓던 옛 시대의 잔향을 소환하는 전시다. 그림을 그리던 예술가들이 글을 통해 서로의 예술을 공유하고, 사상을 지지했던 모습을 읽을 수 있는 시간이다.

▶▶[관련 기사]김환기·김창열·박서보·이우환…거장들의 20년 '비밀 편지' 최초 공개
1962년 김환기가 신종섭에게 보낸 엽서. /사진제공=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전시는 이중섭, 김환기, 장욱진, 유영국 등 한국 근현대 미술을 수놓은 거장들의 육필 편지와 엽서, 사진 자료 등 136점을 관련 아카이브 자료와 함께 선보인다. 전시 제목으로 쓰인 ‘총총(悤悤)’은 빠르게 바삐 걷는 모양을 뜻하는 순우리말 의태어로, 오래전 편지 말미에 흔히 쓰던 작별 인사다. 예술가들이 주고받았던 옛 편지들이 단순히 일상의 기록을 넘어 다면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기획 의도가 읽힌다.

편지에선 작가들의 존경과 격려, 미안함, 고마움 등 다양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1962년 김환기가 군 복무 중인 제자 신종섭에게 보낸 편지가 대표적이다. 유려한 필체로 ‘이병 신종섭 귀하’로 시작하는 편지엔 특유의 감수성 어린 김환기의 위로가 느껴진다. ‘군내에 여러 동지들이 있어 적적하지 않을 줄로 아나 예술의 꿈은 못 견디게 힘든 고독의 골목에 있을지도 모르겠네. 부디 명랑하고 아름다운 꿈을 잊지 마소. 자네들은 훌륭한 예술가가 될 것일세.’

이우환이 1969년 선배 예술가 이세득에게 쓴 편지는 정갈한 글자가 가로쓰기로 새겨져 있다. 일본에서 활동하던 당시 이우환의 단색화 미학은 추상미술이 주류를 이루던 한국 화단이 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세득은 주위의 비난 속에서도 이우환의 예술세계를 응원했고, 이우환 역시 꺾이지 않는 확신을 갖고 있었다. 이 편지는 훗날 단색화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이우환의 우직한 마음을 읽을 수 있다.
1969년 이우환이 이세득에게 보낸 편지. /사진제공=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앞으로 좀더 열심히 공부하고 힘써 좋은 작품을 만들어서 부끄럽지 않은 작가가 되도록 노력하겠읍니다. 저에게도 고국에서 따뜻이 아껴주고 감싸주는 선생님이 계신다는 것은 더없이 기쁘고 든든한 일입니다…(중략) 저때문에 선생님이 많은 욕을 먹었다는 것은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중략) 다만 제가 선생님께 그 애로를 덜게 할 수 있는 길은 앞으로 더 한층 배워서 그네들에게 떳떳이 자랑할 수 있는 작품을 내는 길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있읍니다.’

이 밖에도 전시에선 한국화 거장인 월전 장우성이 서예가 원충희에게 보낸 편지, 서양화가 하인두가 시인 김규태에게 보낸 편지와 그림 등을 볼 수 있다. 김달진 관장은 “편지라는 아카이브를 통해 미술인의 삶에 보다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다”며 “각자의 독특한 필체와 몰랐던 미술사적 사실을 만나는 중요한 지점들을 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전시는 8월 8일까지.

유승목 기자

gg카지노 헤라카지노 티모 카지노 텐카지노 오즈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