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오후 4시16분께부터 서울시의회 앞에서 4·16연대 주도로 '기억·추모·묵념 행사'가 진행됐다. 경찰 추산 100여명에 달하는 참석자들은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과 국가폭력에 대한 인정 및 사과, 책임자 처벌, 안전 사회 건설 등을 요구했다.
4·16연대는 "문 대통령과 취임할 새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와 그 이후에 일어난 국가의 잘못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완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후 6시부터는 서울시의회 앞 세월호 기억공간에서 단원고 학생들 등이 참석하는 '세월호참사 8주기 서울시민 촛불문화제'가 열리고 있다.

추도사를 맡은 김부겸 국무총리는 "대한민국 정부가 국민의 생명을 지키지 못했다. 정부를 대표해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며 "더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나가겠다는 유가족과 국민의 소중한 뜻을 정부가 받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생존 단원고 학생인 장애진씨는 "구할 수 있었는데 구하지 않은 것은 사고가 아니다. 세월호 참사는 사고가 아니다"라며 "친구들아, 많이 지치고 힘들 부모님들과 나를 꿈속에서라도 나와서 껴안아 주고 가, 많이 보고 싶다"고 했다.

인천가족공원 추모관에서는 4·16 재단이 주최한 세월호 일반인 희생자 추모식이 열렸다. 이곳에는 단원고 학생과 교사를 제외한 일반인 희생자 41명의 봉안함이 안치돼 있다. 이 외에도 침몰 초기 수습 활동이 이뤄졌던 진도 팽목항 등 전국 각지에서 희생자를 추모하고 참사의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행사가 이어졌다.
정치권에서도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재발 방지 대책의 목소리를 냈다. 홍서윤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여전히 우리 사회에는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시는 이와 같은 불행이 일어나지 않도록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혼신을 다 하겠다"며 "4월 16일, 천 개의 바람이 된 우리 아이들과 이웃을 기억한다. 국가가 국민의 안전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깊이 새기겠다"고 말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사회 전반의 신뢰 재구축을 위해 미비한 제도를 개선하고 현장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며 "4·16 생명 안전공원 건립도 2024년 준공을 목표로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정의당 이동영 수석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여전히 끊이지 않는 참사와 산재 사망 앞에서 무기력하고 나태한 정치가 송구할 따름"이라며 "추모를 넘어 안전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정치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