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년 전 종로의 속살…세계 최초 공개된 조선총독부 '그 시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역사박물관, 미국 워싱턴D.C. 의회도서관 자료 조사
학술총서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 서울 사진: 네 개의 시선>
외교관, 여행가, 조선총독부, 외신의 기록 집대성
조선 말기~현대에 걸친 80여 년의 생활상 담아
12일 서울책방과 서울역사박물관서 공식 발간
학술총서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 서울 사진: 네 개의 시선>
외교관, 여행가, 조선총독부, 외신의 기록 집대성
조선 말기~현대에 걸친 80여 년의 생활상 담아
12일 서울책방과 서울역사박물관서 공식 발간
말발굽 모양으로 넓게 펼쳐진 초가집, 어깨 위에 쟁반줄을 단단히 매고 사탕을 파는 조선의 어린 소년들, 일제강점기 때 광희문 밖 꼭꼭 숨어있던 빈민굴, 노량진의 무녀촌, 그리고 1884년 경희궁에 서서 파노라마로 찍은 서울….


'조지 C.포크 컬렉션'은 통역사로 조선에 온 보빙사 일행을 수행한 뒤 이를 계기로 조선의 미국 공사관에서 외교 무관으로 파견된 미국 해군 장교 조지 포크(1856-1893)가 촬영한 사진들이다. 포크는 고종의 근대화 사업 자문 역할을 맡으며 남산에서 본 서울 전경과 숭례문과 성벽 밖 민가의 사진 등 현존하는 숭례문 사진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사진들을 남겼다. 1884년 부임 후부터 1년간 찍은 사진들로 그가 머물던 정동과 경희궁 일대 1880년대 서울 풍경을 상세히 담았다.



경성 외에도 평양 인천 수원 대전 강릉 경주 부산 광주 제주 황해도 함흥 간도 등 전국의
‘생활상태’, ‘경제사정’, ‘상업’, ‘부락’ 등 사진 뒷면의 기록을 통해 조선총독부 생활상태 학술조사의 기초자료로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경성의 사진들은 당시 서울에서 사진관을 운영했던 무라카미 텐코 등이 촬영했다.


김보라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