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싼 오피스룩 즐겨입더니 '돌변'…2030여성들 푹 빠진 옷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싸고 품질 걱정 없네요"
고물가에도 알·테·쉬 대신 국내 SPA 찾는다
지그재그, SPA브랜드 첫 구매 고객 130%↑
무신사, SPA 브랜드 할인전서 거래액 2.5배↑
이랜드, 올해 여름 미쏘·스파오 매출 20%↑
고물가에도 알·테·쉬 대신 국내 SPA 찾는다
지그재그, SPA브랜드 첫 구매 고객 130%↑
무신사, SPA 브랜드 할인전서 거래액 2.5배↑
이랜드, 올해 여름 미쏘·스파오 매출 20%↑

1일 업계에 따르면 고물가와 불황이 이어지며 20~30대 여성들 중심으로 가성비를 앞세운 국내 SPA 브랜드 의류 선호 현상이 두드러진다. 알테쉬로 대표되는 C커머스 업체들의 공격적인 국내 사업 확장 속에서도 품질은 국내 SPA 브랜드가 믿을 만하단 인식이 자리 잡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패션 플랫폼 지그재그는 올해 6월부터 지난달 25일까지 신규 가입 후 첫 구매로 SPA 브랜드 상품을 선택한 고객이 전년 동기 대비 2.3배(130%) 급증했다고 밝혔다. 해당 상품 첫 구매 후 다른 패션 브랜드 상품을 추가 구매한 고객은 최근 두 달 기준 전년 동기 대비 33% 늘었다. 지그재그는 “빠른 배송 서비스와 패션에 최적화된 자체 제작 콘텐츠 등이 시너지를 내며 SPA 브랜드 신규 고객층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이 기간 동안 주문하면 다음 날 도착하는 ‘직진배송' 전용관 내 SPA 브랜드 상품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까이(98%) 늘었다. 직진배송을 통해 SPA 브랜드 상품을 구매한 고객 수도 80% 증가했다. 카카오스타일 관계자는 “트렌드가 반영된 SPA 상품을 빠르게 받아보고 싶은 고객들 니즈를 충족시킨 결과”라며 “합리적 패션 쇼핑을 원하는 20~30대 여성들이 SPA 상품을 한 번에 구매해가고 있다”고 귀띔했다.

온라인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국내 SPA 브랜드 매출 신장률이 눈에 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6월 국내 주요 25개 패션·잡화 업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늘었다. 실제 같은 달부터 지난달 말까지 이랜드의 패션 브랜드 스파오와 미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0% 뛰었다. 미쏘 관계자는 “가성비 높은 캐주얼 웨어부터 오피스룩, 액세서리까지 베이직하면서도 트렌디한 상품군이 1020세대부터 3040세대까지 전 연령대 여성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았다”고 말했다.

이렇다 보니 국내 SPA 브랜드 중심으로 품질을 앞세운 의류를 내세우는 경향은 더 짙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스파오 관계자는 “고품질 제품을 합리적 가격에 제공하는 게 고객들이 스파오 제품을 선택하는 주요 요인이자 알테쉬 등 저가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라고 했다. 미쏘 관계자도 “미쏘가 선보이는 컬렉션은 최근 다소 난해하거나 너무 유행을 탄다는 평가를 받았던 저가·저품질 브랜드 의류와는 달리 일상에서 쉽게 원하는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