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 부인의 슬픈 운명을 암시하는
푸치니 오페라 <나비부인>의
'어떤 갠 날(Un Bel Di Vedremo)'
푸치니가 사랑한 오페라 속 캐릭터, 쵸쵸상
비극적이고도 애절한 이야기 속 빛나는 아리아
인기를 기준으로 오페라 셋만 고르라면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비제 <카르멘>, 그리고 푸치니 <나비부인>을 드는 게 보통이다. <나비부인>은 주인공 이름이 쵸쵸(蝶蝶, ちょうちょう). 일본말로 쵸쵸는 나비. 그래서 마담 버터플라이(Madame Butterfly)다.
1900년 6월, 42세 푸치니는 런던 듀크 극장에서 우연히 데이비드 벨라스코 원작의 연극 <마담 버터플라이>를 본다. 이국 취향이 있고 호기심 많던 그에게 미국 남자와 일본 여자의 비극적 러브스토리는 단연 구미가 당겼다. 원작인 존 루터 롱(John Luther Long, 1861~1927, 美)의 소설을 독파하고, 4년간의 준비 끝에 마침내 1904년 2월 17일,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에서 막을 올린다.
자존심 상한 푸치니는 심기일전해 대본을 손본다. 우아함과 경박스러움을 함께 지닌 일본풍 멜로디와 거칠고 무거운 분위기의 미국풍 리듬으로 대조를 주되 무엇보다 ‘어글리 아메리칸/Ugly American’의 이미지를 많이 순화시켰다. 미국 시장을 노린 장기 포석. 초연 3개월 후 수정본으로 올린 오페라 <나비부인>은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고 현재에 이른다.
20세기 초 나가사키(長崎)에 주둔하던 미국 해군 장교 핑커톤(Pinkerton)은 15살 게이샤 쵸쵸상(버터플라이)과 결혼한다. 쵸쵸는 본래 좋은 가문의 출신인데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가세가 기울어 게이샤가 되었다. 핑커톤과 결혼하기 위해 불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다. 이에 반해 핑커톤은 999년간 부부로 지낸다는 결혼 계약을 맺는데 다분히 재미 삼아 한 것.
“어느 아름다운 날, 우리는 만날 거야 / 한 줄기 연기가 피어오르고 / 바다 먼 곳의 수평선 위로 배가 나타나 항구로 들어오고, 고동을 울리겠지 /
보이니? 그가 돌아왔어! / 그런데 나는 달려가지 않을 거야 / 여기 있을 거야, 언덕의 가장자리에 / 그리고 한참을 기다릴 거야 / 오래 기다려도 슬퍼하지 않을 거야 /
한 남자가, 한 작은 점이 다가오고 있어, 언덕을 향해 / 누구일까? 누구일까? / 도착하면, 뭘 말할까? 뭐라고 말할까 / ‘버터플라이’라고 부르겠지? /
나는 대답하지 않고 숨을 거야 / 조금은 장난스럽게 / 그이는 나를 보면 부르겠지? 귀여운 아내여, 베르베나 꽃향기여 / 그가 내게 자주 하던 말이잖아 / 스스로 약속해야겠어 / 참으렴, 견디렴. 두려움을 / 나는 믿음을 갖고 그를 기다릴 거야.”
[Madame Butterfly: Un Bel Di Vedremo (Act. 2)]
1955년 32세의 물오른 칼라스가 노래하는 쵸쵸상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게다가 카라얀이 오케스트라로 받쳐준 전설적인 EMI 녹음. 칼라스가 주는 성악의 아름다움에 더해, 카라얀이 빚어내는 관현악의 묘미까지. 특히 아리아 '어떤 갠 날'에서 카라얀은 하프 독주를 키우고, 바이올린 솔로를 내세워 노래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막판 ‘크레센도(crescendo) 점점 크게’와 ‘디미누엔도(diminuendo) 점점 여리게’를 절묘하게 구사한 오케스트레이션으로 귀를 끝끝내 사로잡는다. 명불허전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